집을 구할 때 확인해야 하는 요소는 많은 게 있다.
이중 나의 보증금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지를 확인하려면 깡통전세인지, 보증보험 확인, 근저당 등을 살펴봐야 한다.
이때 역전세와 깡통전세는 이 두 가지를 혼동하는 경우가 있어 정리해 보았고, 이를 대처하기 위해 어떤 방법들과 예가 있는지 정리해보았다. *두 용어는 정식 부동산 용어는 아니고 은어처럼 생긴 말이다.
'역전세'란?
- '전세난'과 반대되는 말이다. 전세난은 전셋값이 급등하여 세입자가 전세로 살 집을 구하지 못하는 상황을 말하는데,
- '역전세'는 이와 반대로 전셋값이 떨어져 집주인이 전세 가격을 내리지 않는 이상 세입자를 구하기 어려운 상황을 말한다.
*EX
- 예를 들어 전세 계약 당시 전셋값은 1억이었는데, 시간이 지나 다시 전세 계약을 해야 할 날이 돌아왔다고 치자.
- 1) 그런데 전세 가격이 8천만 원으로 하락했고,
- 2) 세입자가 계약 연장을 하지 않고 이사를 가기로 해서
- 3) 다른 세입자를 구해야 하는 집주인은 8천만 원에 전세 거래를 이루었다.
- 4) 그러면 이사를 가는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주기 위해서 8천 만 원을 제외한 2천만 원을 다른 곳에서 충당해서 내줘야 한다. 이런 상황이 바로 '역전세'
'깡통전세'엔 크게 두 가지 경우가 있다.
- 전셋값 > 집값(매매가)
- 담보대출+전셋값 > 집값(매매가)
*EX
- 예를 들어 시세가 1억 원인 집을 매매가의 80%인 8천만 원에 전세를 계약했다고 치자. 시간이 지나 계약 완료 시점이 됐는데, 집값이 전세 시세보다 낮은 7천만 원으로 하락했다면?
- 집주인은 집을 팔고서 다른 곳에서 전세 보증금을 충당해야 한다. 만약 지불할 능력이 안된다면 집은 경매에 넘어가게 되고 이때 보통 매매값 시세의 80% 전후로 낙찰이 된다.
이미 매매값보다 전셋값이 더 비싼데, 매매가의 80% 전후로 경매 낙찰이 됐다면 나의 보증금은 돌려받지 못한다.
이러한 이유로 역전세와 깡통전세는 위험하다. 게다가 갭투자(혹은 투기)를 하는 사람들이 역전세와 깡통전세를 많이 끼고 있다는 썰들도 있다. 이 사람들의 현금 흐름성은 상대적으로 좋지 않을 텐데, 게다가 역전세와 깡통전세라면 안정성면에서 많이 안 좋고 위험하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역전세와 깡통전세를 피하려면, 그리고 대처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
1) 전세가와 매매가 시세 추이를 살펴본다.
2) 집주인이 근저당(집을 담보로 대출한 돈)이 있는지 확인하자. *등기부등본을 떼서 확인할 수 있다.
-> 추가로 주의해야 할 상황이 있는데, 재계약을 하게 된다면 이때도 등기부등본을 떼서 근저당이 됐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한 예를 들어보자.
ㄱ) 세입자가 1억 원으로 집주인과 전세 계약을 했다. 이때 세입자는 등기부등본을 뗐을 때 근저당이 없음을 확인했다.
ㄴ) 집주인이 전세 계약 이후 2년이 되기 전 해당 주택을 담보로 5천 만 원 대출을 받았다.(근저당 설정)
ㄷ) 2년 후 집주인은 전셋값을 2천만 원 올렸다.
ㄹ) 세입자는 이에 동의하여 2천만 원을 지불하고 전세 재계약을 했다.
ㅁ) 이 경우 만약 집이 경매로 넘어갔을 때 인상분인 2천만 원은 근저당이 설정된 이후 지불하였으므로, 근저당 대출보다 후순위로 밀려, 인상분은 받지 못할 수도 있다.
3) 전세보증금 + 근저당이 집값(매매가)의 시세 7~80%가 안 넘는지를 확인한다. *앞서 언급했듯 경매에 넘어가면 매매가의 80% 전후로 낙찰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보통 70%가 안 넘는 게 안전빵
-> 빌라와 같은 다가구주택이나 단독주택의 경우 세입자가 여러 명인 경우가 많으므로, 이럴 때는 주택의 예상 경매 낙찰가와 세입자 전체의 보증금을 비교해야 한다. 만약 낙찰가 < 세입자 전체 보증금이거나, 금액이 비슷하다면 계약을 안 하는 게 낫다. 또한, 세입자가 나타나기 전까지 돈을 돌려주지 않는 경우도 있어 전세 거래가 활발한 곳을 우선으로 검토하는 게 좋다.
4) 잔금을 치르는 날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를 받아야 경매가 넘어갔을 때 선순위를 얻을 수 있다.
5) 전세금 반환보증보험을 가입하자. 이름도 길은 이 상품은 집주인이 임대 사업자라면 대부분의 경우가 의무가입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보증보험을 꼭 가입하는 것이 좋다.
대표적인 전세금 반환보증보험 상품으로는 HUG(주택도시보증공사)의 ‘전세보증금 반환보증’과 SGI서울보증의 ‘전세금보장 신용보험’이 있다.
*참고로 깡통전세는 보증보험 가입조건에 부합하지 않아 가입이 불가하다. 믿거 수준
2022.09.07 - [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부동산] - 전세 사기 유형 및 전세 사기 방지를 위한 예방법 *빌라 전세 사기, 오피스텔 전세 사기 등
2022.10.09 - [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부동산] - 전월세 계약 전 확인해야 하는 필수 서류 4가지. 전세 사기 방지법, 깡통전세 피하는 방법, 깡통전세 방지법
'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투자 주의할 점 3가지. 지역주택조합, 기회부동산 토지, 분양빌라 (1) | 2022.07.15 |
---|---|
전세사기 수법 2가지. '시세조작', '체납세금 떠넘기기'와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 (1) | 2022.07.12 |
'상생임대인'이란? 상생임대인 지원제도 개선, 일시적 1세대 2주택자 양도세는?, 1세대 1주택자 양도소득세 (2) | 2022.06.21 |
윤석열 정부의 월세세액공제 상한 공약 현 12%에서 최대 몇프로까지 검토? (2) | 2022.06.21 |
LH청년전세임대, 청년매입임대, 행복주택 차이 및 장단점 비교 (0) | 2022.04.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