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 공학 이야기/전기변색과 배터리'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과학과 공학 이야기/전기변색과 배터리22

EIS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법), EIS 그래프 해석, 저항과 리액턴스란? EIS 측정방법 'EIS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법)'   임피던스 = 교류 전압을 가하는 측정 일반적인 저항의 측정 방식은 직류 전압(DC)을 걸고 흐르는 전류를 측정해 저항을 계산한다. 즉, 고정된 한 시점의 저항값만 알려준다. *R(저항)=V(전압)/I(전류)   반면 임피던스는 주파수에 따른 교류 전압(AC)을 인가해 나오는 저항을 보는 방법이다. 교류 전압은 시간에 따라 진동하는 전압을 의미한다. 주파수로 미미한 진폭(sine wave)을 주며 전압을 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1.0V에서 ±10mV의 주파수 범위에서 진동하는 신호로 측정을 한다면 아래와 같은 모양으로 측정이 된다. 즉, 큰 전압에서의 변화 없이 아주 미미한 수준에서 살.. 2025. 4. 8.
XPS와 UPS의 차이는 뭘까? *XPS, UPS 원리 XPS와 UPS의 원리와 차이점은? ✅두 장비의 큰 흐름은 둘 다 물질의 전자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같다. 단, XPS는 X선을 사용하고, UPS는 극자외선을 사용한다.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 X선 광전자 분광법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의 표면에 X선을 쏜다. X선의 에너지는 보통 수백 eV에서 1,500 eV까지 높은 에너지를 가졌기 때문에 물질 내부에 결합된 전자(내각 전자)를 분리시켜 밖으로 튀어나오게 한다. ✔️빛에너지로 튀어나온 전자라서 이를 '광전자'라고 한다. 그리고 광전자의 운동에너지를 분석해 물질의 성분이나 전자 구조 등을 알 수가 있다. UPS(ultraviolet photoelectron spectroscopy) : 자외선 광.. 2024. 3. 20.
XPS와 XRD의 차이와 원리는? - XPS의 자세한 설명은 이전 포스팅 참고 2022.12.05 - [과학과 공학 이야기/전기변색과 배터리] - XPS 원리와 분석 방법,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원리 XPS 원리와 분석 방법,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원리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란? - 요악하자면 X-선을 시료에 쏘면, 시료 표면에 있던 외곽 전자가 결합이 끊어지면서 튀어나온다. 이를 secondary electron(=2차 전자)이라고 하는데, secondary electron 에 washere.tistory.com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 X선 광전자 분광법) XPS는 표.. 2023. 10. 19.
LSV 테스트란? 선형주사전위법(Linear Sweep Voltammetry, LSV)이란? 'LSV'(Linear sweep voltammetry : 선형주사전위법) 대표적인 전기화학 측정법 중 하나이다. 이는 CV(cyclic voltammetry : 순환 전압전류법)과 원리는 거의 동일하다. ▲ CV와 마찬가지로 3전극 측정법(기준전극, 상대전극, 작업전극)이며, 작업전극에서 초기 전위를 설정한 뒤, 양 혹은 음의 방향으로 전압을 변화시키며 전류-전위 곡선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산화 환원 지점을 알 수 있다. *Scan rate는 원하는 속도로 설정한다. ▲ 즉, 순환전압전류법은 특정 전압 범위를 주면 그에 따라 양방향으로 전위가 순환하며 측정하는 방식이라면, LSV는 단일방향이다. 한마디로 전압을 한 방향으로(양 혹은 음의 방향)으로 주사하는 방법이며, 이때 전위의 속도(Scan rate).. 2023. 7. 7.
3전극 시스템 사용하는 이유 *2전극 시스템과 3전극 시스템 차이 전기화학 실험에는 크게 2전극과 3전극 시스템으로 나뉜다. ✅전극은 크게 ▲작업전극(Woking electrode), ▲상대전극(Counter or Auxiliary electrode), ▲기준전극(Reference elctrode)으로 나뉘며, 이 3개를 모두 사용하는 것이 3전극, 작업전극과 기준전극만 사용하는 것을 2전극이라고 말한다.  ✅'작업전극'은 전위를 측정하고자 하는 샘플이 되고, '상대전극'은 불활성 물질인 Pt(백금), '기준전극'은 Ag/AgCl을 주로 사용한다.  2전극 시스템 ✔ ▲작업전극(Working electrod)과 ▲기준전극(Reference electrode)만 존재한다. 작업전극은 전기화학적 반응이 일어나는 전극이며, 기준전극은 작업전극의 전위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점이.. 2023. 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