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52 Page)
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049

반도체 인재 양성 방안 : 반도체 인력 15만 명 양성을 위한 수도권 대학 정원 늘리기 정책 수도권 대학 정원 늘리기(=10년 간 반도체 분야 인력 15만 명 키우기) 수도권 내 대학은 정원을 마음대로 늘릴 수 없다. *수도권에만 몰려 지역발전과 균형이 무너지지 않게 하기 위해 1982년 법으로 정해놨음. 하지만 반도체 분야 인력이 더 필요하다고 느껴 이를 조정하여 수도권 대학 정원을 늘려, 반도체 관련 인재를 확보하겠다는 것. *앞으로도 반도체 산업 발전과 성장은 필연적이고, 그만큼 기술력은 중요하다. 이에 인재 확보가 필수이기 때문 반도체 인력은 현재 17만 명에서 30만 명까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수도권과 지방 대학 일부 정원을 2,000여 명을 늘려 반도체 관련 학과 학생들을 더 뽑는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여기엔 문제점이 있다. 1. 지방대학의 경쟁력 하락 및 소멸 안 그래도 .. 2022. 7. 22.
넷플릭스 광고 요금제 도입? 넷플릭스 요금제 가격 정리 비교, 왓챠 요금제 가격 정리 비교 최근 기묘한 이야기 시즌4 때문에 넷플릭스 구독을 다시 하였다. 하지만 구독자가 하락하고 있는 추세(*지난 4월 발표한 1분기 실적에서 전 분기보다 20만 명 감소)라 파트 1, 2로 나눠서 공개를 했던데, 아무래도 구독자 유지를 위한 장치인 것 같다. 앞으로도 보장된 대형 작품들은 이런 장난질이 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든다. 넷플릭스 요금제 가격(베이직, 스탠다드, 프리미엄) ▲ 베이직 9500원, 스탠다드 13,500원, 프리미엄 17,000원이다. ▲ 가장 큰 차이점은 화질과 동시 접속자 수이다. 베이직은 화질이 480p까지만 지원을 한다. *베이직이 화질만 더 좋았으면 그냥 베이직 쓸 사람도 많을 거다. 이건 그냥 대놓고 프리미엄을 쓰라는 거나 다름이 없다. 넷플릭스 광고 요금제 도입? OTT .. 2022. 7. 21.
다음달 2일 행안부 경찰국 신설, 경찰국은 위헌? 경찰국 세부계획 22.08.02. 경찰국 신설 계획 예정 경찰국은 행정안전부(행안부) 내에 새로 만드는 경찰 관리 부서. 검수완박에 따라 경찰의 권한을 견제하기 위해 만들어진 조직이다. 현재까지 경찰국 세부계획안은 아래와 같다. 경찰국엔 크게 ▲인사지원과 ▲총괄지원과 ▲자치경찰지원과 등이 생길 예정. 행안부는 업무 수요가 증가할 경우 경찰로부터 인력 2~3명을 파견받아 경찰국을 운영하겠다고 밝힘. 인력을 파견받는 경우엔 경찰국 부서 내 약 80%가 경찰 공무원이 될 것으로 예상 그 외 경찰국 세부계획은? ▲ 행안부는 경찰청장에 대한 지휘규칙을 제정 *지휘규칙이 만들어지면 경찰청장은 법률 제·개정이 필요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거나 국제기구 가입 또는 국제협약을 체결할 때 행안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함 *국무회의 상정 안건과.. 2022. 7. 20.
대우조선해양의 파업 이유, 노조 내부 상황과 정부의 공권력 투입 시사? 대우조선 파업 이유는? 현재 파업은 50일째 진행 중이다. 민주노총 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 하청업체지회 노조원 150여 명이 요구하는 것은 크게 3가지다. ▶임금 30% 인상 ▶노조 전임자 활동 보장 ▶단체교섭 인정 등 - 하청 노조는 임금 30% 인상이 생존권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요구라고 주장 *2014년보다 실수령액이 31.7% 줄었다는 것을 근거로 삼음. 조선업 불황으로 인한 일감 감소, 하청에서 재하청으로 넘어가는 구조로 저렴해지는 인건비 등이 문제 - 이를 개선하기 위해 대우조선해양이 공사대금을 올려줘야 한다고 주장(=임금 상승)하는 중이라 대우조선과 대주주인 산업은행에게 압박을 가하는 중 - 협상은 현재 제자리걸음 중이며, 이들이 점유하고 있는 곳 때문에 선박을 바다에 띄우는 작업이 중단.. 2022. 7. 20.
'S의 공포', 'R의 공포', 'D의 공포'란? 'S의 공포' 여기서 의미하는 'S'란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을 의미한다. 자주 반복해서 얘기하듯, 현재 물가상승을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빠르게 올리고 있다. 얼마 전 미국은 자이언트 스텝을 밟았고, 한국도 처음으로 빅스텝을 밟았다. *한국의 기준금리 2.25% 2022.06.16 - [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경제와 사회] - 미연준 기준금리 인상, 미국 기준금리 인상과 한국 기준금리에 주는 영향,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국내에 주는 영향 미연준 기준금리 인상, 미국 기준금리 인상과 한국 기준금리에 주는 영향,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미국의 기준 금리 인상 *자이언트 스텝 미국의 중앙은행. 연준(연방준비제도)이 미국 현지시간 기준으로 22년 6월 15일에 빅 스텝(0.5%p)을 넘어 자.. 2022.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