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 공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7 Page)
본문 바로가기

과학과 공학 이야기97

대장장이들이 강철을 두드리는 이유는 뭘까? *결정립(Grain), 결정립계(Grain boundary), '재결정화 온도(Recrystallization Temperature)', 'Dislocation(전위)', '어닐링'을 하는 이유까지 금속은 수많은 입자들이 모여 구성하고 있다. 입자 하나하나는 '결정립(Grain)'이라고 부르며, 결정립간의 경계를 '결정립계(Grain boundary)'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 안에는 원자들이 특정한 배열을 하고 있는 '결정(Crystal)'이 있다. 우리가 보는 금속 입자는 Grain들이 모여 수많은 결정을 구성한 것이다. 결정화 온도란 이전에도 얘기한 적이 있다. 즉, 결정이 생기는 온도를 말한다.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 결정화온도, 용융온도 정의와 차이 Tg, Tc, Tm 차이 이번엔 비교적 간단한 주제를 말하고자 한다. 이전에도 얘기한 바가 있지만, 좀 더 부가설명을 하고자 게시물을 작성하였다. 폴리머는 크게 2가지 재료로 나뉜다. 고분자 결정화 구조, 결정성과 washere.tistory.c.. 2023. 2. 6.
디스플레이에 들어가는 회로 DDI란 뭘까? *업스케일링 기술 원리는?? 'DDI'란? DDI는 화면 뒤쪽에 위치한 IC(집적 회로)로 'Display Driver IC'의 줄임말이다. 디스플레이의 수많은 픽셀을 구동해서 화면을 송출하는 시스템 반도체의 역할을 한다. 이미지 센서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꿔준다면, DDI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픽셀을 구동하는 시스템 반도체이기 때문에 DDI가 없으면 전자기기에서 화면을 구동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OLED는 자체적으로 발광하는 소자인데 필요 없는 거 아니야? 그렇지 않다. LCD나 OLED 패널이나 상관없이 DDI가 들어간다. DDI는 크게 Gate IC와 Source IC로 이루어져 있다. Gate IC(=스위치 TFT)는 서브픽셀들을 켜고 끄는 역할, Source IC(=구동 TFT).. 2023. 2. 2.
LCD TV와 OLED TV의 차이는 뭘까? LCD TV와 LED TV의 차이는? 초창기 TV인 CRT TV  브라운관 TV로도 불린다. CRT TV는 처음 개발됐던 1930년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TV 시장을 꽉 잡았었다. CRT TV의 원리를 간단하게 말하면 뒤에서 전자빔을 쏘고, 이때 표면에 도포된 형광물질과 충돌하며 빛을 낸다. 브라운관 TV로도 불린 이유는 CRT TV의 초기 발명자 이름인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 이름을 딴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CRT TV는 부피도 크고, 너무 무겁다는 점이다. 작은 화면에서는 상관이 없었지만 더 큰 화면에 TV를 만들 수는 없었다. 그러던 중 1990년대에 LCD TV가 등장하면서 점점 밀리더니 현재는 찾아볼 수가 없다. 가끔 레트로 매장에서만 볼 수 있는 정도.         LCD TV의 등장 *LCD TV와 LED TV의 차.. 2023. 1. 26.
삼성 QD-OLED TV 출시. QLED, OLED와는 무슨 차이일까? QD-OLED 원리와 공정법, 장단점은? 지금 양산되고 있는 QD 디스플레이. 즉, QD-OLED TV는 QLED TV랑은 조금 다르다. 이전에 QLED는 백라이트가 있고, 퀀텀닷 필름이 들어가 색재현율을 높인 것이라면, QD-OLED는 퀀텀닷 OLED다. 퀀텀닷 물질이 들어간 필터를 이용한 건 맞지만, 명확하게 얘기하면 OLED TV다. OLED는 장점이 굉장히 명확하다. 항상 번인 이슈가 따라다니긴 하지만, 소자 하나하나에서 빛을 내기 때문에 명암비와 응답속도가 빠르다. 한참 OLED를 광고할 때, 검은색을 강조를 많이 하는데 백라이트가 있는 LCD 디스플레이는 뒤에서 빛이 있기 때문에 완벽한 검은색이 아니다. 반면, OLED 디스플레이는 소자 하나하나가 빛을 내고 그냥 그 빛을 꺼버리면 되기 때문에 더 깊고, 선명한 검은색을 내고 대비율 .. 2023. 1. 14.
고분자 점탄성 모델 White Metzner Model *Stress tensor와 pper Convected Maxwell Model (UCM), Oldroyd-B model 고분자는 점성과 탄성을 둘 다 지니고 있다. 이전 포스팅에도 얘기하였듯이, 풍선껌과 같은 것이라 보면 되는데 적당한 힘을 가하면 탄성 때문에 원래 상태로 돌아오지만 그 이상에 힘을 가하게 되면 쭈욱 늘어나고(점성) 돌아오지 않는다. 고분자는 이러한 특성. 즉, 점탄성을 가지고 있다. White Metzner Model은 변수에 따른 고분자의 점탄성 특징을 예측하는 모델이다. 2020.12.23 - [과학과 공학 이야기/고분자] - 점탄성; Viscoelasticity 거동, 점성과 탄성 점탄성; Viscoelasticity 거동, 점성과 탄성 점탄성 : 점성과 탄성이란? Viscoelasticity mean ▲ 점성;Viscosity 끈적함을 말한다. 걸쭉한 갯벌을 생각하면 되는 데, 걸쭉함 정도를 점도.. 2022. 1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