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장이들이 강철을 두드리는 이유는 뭘까? *결정립(Grain), 결정립계(Grain boundary), '재결정화 온도(Recrystallization Temperature)', 'Dislocation(전위)', '어닐링'을 하는 이유까지
금속은 수많은 입자들이 모여 구성하고 있다. 입자 하나하나는 '결정립(Grain)'이라고 부르며, 결정립간의 경계를 '결정립계(Grain boundary)'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 안에는 원자들이 특정한 배열을 하고 있는 '결정(Crystal)'이 있다. 우리가 보는 금속 입자는 Grain들이 모여 수많은 결정을 구성한 것이다. 결정화 온도란 이전에도 얘기한 적이 있다. 즉, 결정이 생기는 온도를 말한다.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 결정화온도, 용융온도 정의와 차이 Tg, Tc, Tm 차이 이번엔 비교적 간단한 주제를 말하고자 한다. 이전에도 얘기한 바가 있지만, 좀 더 부가설명을 하고자 게시물을 작성하였다. 폴리머는 크게 2가지 재료로 나뉜다. 고분자 결정화 구조, 결정성과 washere.tistory.c..
2023. 2. 6.
삼성 QD-OLED TV 출시. QLED, OLED와는 무슨 차이일까? QD-OLED 원리와 공정법, 장단점은?
지금 양산되고 있는 QD 디스플레이. 즉, QD-OLED TV는 QLED TV랑은 조금 다르다. 이전에 QLED는 백라이트가 있고, 퀀텀닷 필름이 들어가 색재현율을 높인 것이라면, QD-OLED는 퀀텀닷 OLED다. 퀀텀닷 물질이 들어간 필터를 이용한 건 맞지만, 명확하게 얘기하면 OLED TV다. OLED는 장점이 굉장히 명확하다. 항상 번인 이슈가 따라다니긴 하지만, 소자 하나하나에서 빛을 내기 때문에 명암비와 응답속도가 빠르다. 한참 OLED를 광고할 때, 검은색을 강조를 많이 하는데 백라이트가 있는 LCD 디스플레이는 뒤에서 빛이 있기 때문에 완벽한 검은색이 아니다. 반면, OLED 디스플레이는 소자 하나하나가 빛을 내고 그냥 그 빛을 꺼버리면 되기 때문에 더 깊고, 선명한 검은색을 내고 대비율 ..
2023.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