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에 들어가는 회로 DDI란 뭘까? *업스케일링 기술 원리는??
본문 바로가기
과학과 공학 이야기/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에 들어가는 회로 DDI란 뭘까? *업스케일링 기술 원리는??

by 학식과 구내식당 사이 2023. 2. 2.
반응형

 

 

 

 'DDI'란?

 

 DDI는 화면 뒤쪽에 위치한 IC(집적 회로)로 'Display Driver IC'의 줄임말이다.

 

 디스플레이의 수많은 픽셀을 구동해서 화면을 송출하는 시스템 반도체의 역할을 한다. 이미지 센서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꿔준다면, DDI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픽셀을 구동하는 시스템 반도체이기 때문에 DDI가 없으면 전자기기에서 화면을 구동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OLED는 자체적으로 발광하는 소자인데 필요 없는 거 아니야? 그렇지 않다. LCD나 OLED 패널이나 상관없이 DDI가 들어간다. 

 

모든 전자기기에는 DDI가 들어간다.

 

 

 DDI는 크게 Gate IC와 Source IC로 이루어져 있다.

 

 Gate IC(=스위치 TFT)는 서브픽셀들을 켜고 끄는 역할, Source IC(=구동 TFT)는 켜진 서브픽셀들이 표현할 색상을 정한다. 그리고 Source IC와 Gate IC에서 전압차를 이용해 전류를 TFT에 흘려주어 각각의 서브픽셀들이 구동하게 된다.

 

 LCD든 OLED든 픽셀 하나하나를 켤 건지 끌건지, 어떤 색을 보일건지 명령을 내려야 하는데 이 역할을 DDI가 하는 것이다.

 

 모니터, TV 등 대형 디스플레이는 그만큼 픽셀이 많아 여러 개의 DDI가 들어가 Panel DDI를 줄여 'PDDI'라고 부른다. 반면, 모바일용에 들어가는 DDI는 하나로도 충분하며 'MDDI'라고 부른다.

 

source :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보유한 기술 중엔 DDI를 활용한 업스케일링 기술이 있다.

 

 '업스케일링'이를 설명하기 위해 예를 들어보자. 1080p 디스플레이를 4k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되면, 픽셀 수의 차이가 너무 크다. 즉, 인접한 픽셀 간 색 대비율이 너무 커서 화면이 깨진 것처럼 보이는데 데이터양을 늘려서 인접픽셀과 유사하게 대비율을 낮춰 4k 화면과 비슷하게 화질을 높여지는 기술을 말한다.

 

 

업스케일링 기술 source : 삼성전자 반도체

 

 

※ 같이 보면 좋은 글

 

디스플레이 TFT 원리와 종류, LTPO란?

TFT는 서브픽셀에 들어가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며,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각 서브픽셀의 밝기를 조절하며 좀 더 명확한 화면을 볼 수 있게끔 하는 역할이다. 그중에서도 'LTPO(Low-Tempe

washere.tistory.com

 

 

픽셀 비닝의 원리, 픽셀 비닝의 정의, 픽셀 비닝이란?

'픽셀 비닝'이란 무엇일까?*Pixel binning · 간단히 말해 '야매로 화소 늘리기'라고 보면 된다. 근데 화소가 늘어난 건 사실이긴 하다. 이게 무슨 소리일까? ​ · 우선 픽셀(화소)의 정의를 생각해보

washere.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