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 공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8 Page)
본문 바로가기

과학과 공학 이야기97

XPS 원리와 분석 방법,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원리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란?  ✅X-선을 시료에 쏘면, 시료 표면에 있던 외곽 전자가 결합이 끊어지면서 튀어나온다.   ✅이를 secondary-electron(=2차 전자)이라고 하는데, secondary electron 에너지를 분석해 측정하고자 하는 샘플 표면에 어떤 결합들이 있는지 알 수 있는 표면 분석법이다. *source : https://jista.tistory.com/55  ✅또한, XPS는 X-선 중에 파장이 긴 soft X-선을 사용한다. soft X-선은 공기 중에 흡수가 되기 때문에 진공 상태에서 측정하며, X-선과 최외곽 전자의 결합에너지의 차이가 너무 큰 샘플의 경우 측정되는 피크가 굉장히 작게 표현되기 때문에 soft X-선 대신 .. 2022. 12. 5.
'베르누이의 방정식(Bernoulli equation)', '토리첼리의 정리(Torricelli's theorem)'란? 베르누이 정리 요약 고분자를 포함한 유체(엑체와 기체를 통틀어 말함)에서 항상 적용되는 것이 유체역학이다. 유체역학은 유체 흐름에 대한 압력, 속도, 고도 사이 관계를 설명한다. 유체역학 중 하나로 1738년 다니엘 베르누이가 방정식을 고안하는데, 이게 '베르누이 방정식'이다. 베르누이 방정식이 적용되는 대표적인 예로는 컨테이너나 배관에서 액체가 얼마나 빨리 배출이 될 수 있는지나, 비행기가 앙력으로 인해 위로 뜨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물론 비행기는 유체역학 외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말이다. 'Bernoulli equation(베르누이 방정식)' 간단하게 말하면 베르누이 방정식은 '정압력과 동압력의 합은 언제나 같다'로 설명할 수 있으며, 유체역학에서 적용되는 에너지 보존 법칙이라고 보면 된다. 다만, 압력에 따라.. 2022. 11. 27.
유기물과 무기물의 차이 및 유기물 무기물 예시 물질은 유기물과 무기물로 나뉜다.   ✅ 유기물은 불에 타는 물질로 생명과 관계가 깊은 물질을 말하며, 무기물은 생명과 관계가 없으며 불에 타지 않는 물질로 나뉜다. ✅ 유기물의 대표적인 예로는 탄소 원자인 C, 수소(H), 산소(O)를 비롯한 몇 가지 원소로 이루어진 물질을 말한다. 생명체가 만드는 물질을 말하기 때문에 유기물보단 엄밀히 말하면 '유기화합물'이 더 적합한 말이다. *알코올과 석유 등에 CHO가 많이 보이는 이유다. 참고로 철(Fe)은 생물에게 필수적인 요소이나 무기물에 속한다.  ✅ 예전에는 생명체만이 유기물을 만들 수 있었으나, 무기물을 화학적 방법으로 합성해 유기물 요소를 만드는 게 가능해지면서 생명체만이 만들 수 있는 물질이 아닌 '탄소 원자가 연결된 뼈대'가 있는 분자 구조로 유.. 2022. 10. 10.
CA(Chronoamperometry)란 무엇일까? Chronoamperometry 원리 'CA(Chronoamperometry)' : 시간대전류법  전기화학적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 중에 하나다.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평형 상태에 있는 전극에 특정 전압을 양(positive) 혹은 음(negative) 방향으로 인가한다.2) 전압이 흐르게 되니, 전류도 흐르게 되는데 이때 시간에 따른 전류 변화를 기록한다.  즉, CV나 LSV가 전압을 서서히 증가시킨다면, CA는 바로 시작부터 원하는 전위를 딱 가하여 바로 전기화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활성물질 확산계수, 반응속도, 확산속도 등을 분석할 때 이용하는 방법이며, 계면에서 커패시턴스 효과를 관찰할 때 사용하기도 한다. *커패시터는 전하가 축적될 때까지 전류가 흐르니깐. 반도체 공정 전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간단 .. 2022. 9. 4.
인장강도와 항복강도의 차이, 영률과 항복강도 차이, Tensile strength vs Yield strength 영률, 인장강도, 항복강도의 차이는 뭘까? 예전 포스팅에서 영률에 대해 글을 쓴 적이 있었다. Young's modulus(영률)은 Elastic modulus(탄성계수로)로도 불리며, 재료 고유의 탄성 성질을 나타내는 특성을 말한다. 영률에 관한 포스팅은 아래 링크 참조 2020.12.24 - [과학과 공학 이야기/고분자] - Young's Modulus 영률, 탄성계수의 의미 2020.12.22 - [과학과 공학 이야기/고분자] - 고분자의 물성들 Young's Modulus 영률, 탄성계수(elastic modulus)의 의미 Young's Modulus는 '영률' or '탄성계수'로서 Elastic modulus로 불리기도 한다. '탄성계수'라는 말처럼 재료 고유의 '강성;stiffness'를 나.. 2022. 6.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