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 공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9 Page)
본문 바로가기

과학과 공학 이야기98

인장강도와 항복강도의 차이, 영률과 항복강도 차이, Tensile strength vs Yield strength 영률, 인장강도, 항복강도의 차이는 뭘까? 예전 포스팅에서 영률에 대해 글을 쓴 적이 있었다. Young's modulus(영률)은 Elastic modulus(탄성계수로)로도 불리며, 재료 고유의 탄성 성질을 나타내는 특성을 말한다. 영률에 관한 포스팅은 아래 링크 참조 2020.12.24 - [과학과 공학 이야기/고분자] - Young's Modulus 영률, 탄성계수의 의미 2020.12.22 - [과학과 공학 이야기/고분자] - 고분자의 물성들 Young's Modulus 영률, 탄성계수(elastic modulus)의 의미 Young's Modulus는 '영률' or '탄성계수'로서 Elastic modulus로 불리기도 한다. '탄성계수'라는 말처럼 재료 고유의 '강성;stiffness'를 나.. 2022. 6. 25.
드롭 캐스팅(drop castong) 원리, 스핀코팅(spin coating) 원리, drop casting 뜻과 spin coaintg 뜻을 알아보자.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많은 전자 산업에서 제품에 들어갈 소자를 제작하기 위해 기판 위에 박막을 증착한다. 많은 방법들이 있지만, 드롭 캐스팅과 스핀코팅은 비교적 간단하고 빠르게 증착할 수 있는 방법이다. 두 증착법에 대한 원리와 장·단점을 소개하고자 한다. 드롭 캐스팅(drop casting) 'drop'은 '떨어트리다'는 의미를, 'casting'은 '주조'라는 뜻을 가졌다. 떨어트려서 틀을 만든다는 의미인셈이다. drop casting은 용액을 평평한 표면에 떨어트린 다음 열처리(*사용하는 용액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를 통해 증발시키면서 막을 형성하는 방법을 말한다. 굉장히 간단한 사용법이기 때문에 박막을 쉽게 만들 수 있지만, 보편적으로 막의 두께가 두껍고, 균일하지도 않다. 스핀 코팅(Spin.. 2022. 6. 20.
Moldex3D란? 플라스틱 사출성형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이전에 깊게는 아니지만 Moldex3D를 다룬 적이 있었다. 이에 프로그램을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그럴 일도 없지만 광고도 아니고 홍보도 아니다. Moldex3D는 대만에 본사를 둔 플라스틱 사출성형을 중점적으로 수행하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다. 이를 기반으로 기계적, 열적 해석을 할 수가 있다. 컴퓨터 엔지니어링을 이용하는 프로그램이기에 'CAE(Computer Aided Engineering)'라고 불린다. *압축 성형도 가능함. 대표적으로 Moldex3D 외에 Moldflow가 있다. 세부적으로 많은 차이가 있겠으나 Moldex3D는 발포 사출 시뮬레이션을 할 수가 있었기에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게 됐었다. 게다가 Moldex3D는 플라스틱 사출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소프트웨어다. *다만, 압출성.. 2022. 6. 11.
점도란 뭘까? 절대점도(역학점도)와 동점도의 차이, 뉴턴 유체와 비뉴턴 유체 점도(Viscosity)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점도는 유체의 끈끈한 정도를 말한다. 꿀이나 엿, 혹은 딸기잼을 숟가락으로 퍼보면 그때 있는 끈끈한 정도를 생각하면 된다. ✅참고로 물질은 고체와 유체(고체에 비해 형상이 일정하지 않는 물체)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액체와 기체, 플라즈마로 나눌 수 있다. 플라즈마는 고체, 액체, 기체에 이어 4번째 상태로 원자핵과 자유전자가 따로따로 떠돌아다니는 상태이다 ✅점도가 높으면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을 것이고, 너무 낮으면 변형이 쉬울 것이다. 사출이나 압출 등 폴리머를 이용한 공정에서 재료의 점도가 중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점도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가 있다. - 역학점도(dynamic viscosity) 혹은 절대점도(absolute.. 2022. 4. 17.
UV/VIS/NIR Spectrophotometer 자외선/가시선 분광광도계란? 이름도 어려운 UV머시깽이. 분광광도계 이 장비는 특정 파장 영역에 따른 광원을 시료에 주사하려 흡광도나 투과율, 반사율을 측정하는 장비이다. *광원, detector, 적분구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장비의 스펙에 따라 UV/VIS 혹은 UV/VIS/NIR로 나뉘기도 한다. *UV(자외선), VIS(가시광선), NIR(근적외선) 장비 원리 - 외부에서 빛 에너지를 흡수 - 분자 운동이 발생(진동, 전이 등) - 분자가 바닥 상태에 있을 때 특정 파장을 흡수하면서 들뜬 상태가 된다. *흡수 스펙트럼 - 이때 흡수한 파장과 빛의 세기에 따라 그래프가 그려지는 것이다. 이는 분자의 농도나 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혹은 원자 *장비에 따라 측정할 수 있는 시료의 상이 상이한데, 큰 장비인 경우 고.. 2022. 4.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