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부동산' 카테고리의 글 목록 (6 Page)
본문 바로가기

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부동산51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의 보증 한도를 낮춘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보증 한도가 줄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집주인의 부채비율이 90%가 넘는 주택에 대한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의 보증(보증금 보험)의 한도를 기존 80%(신혼부부·청년 90%)에서 60%로 낮췄다. 부채비율은 ‘집주인의 주택담보대출 등 해당 주택에 대한 담보권 설정금액’ + ‘세입자의 전세보증금을 합친 금액’을 주택 가격으로 나눈 것을 말한다. 부채비율이 90%가 넘는 주택은 '깡통주택'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깡통주택은 시세를 뻥튀기해서 집주인의 현금이 거의 안 들어간 집이다. 23.01.16. 신규가입자부터 60%가 적용되고, 그전에 가입한 사람들은 기존 한도가 적용된다. .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 한도가 낮아진 이유는? 전세 사기가 너무 늘었다. 22년 전세 사기는 총.. 2023. 1. 19.
부동산 규제 해제 임박. 부동산 규제 해제 지역 대출은? 서울 부동산 규제 해제 임박 -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를 제외하고, 부동산 규제가 전면 해제될 전망(서울 포함). - 현재로서 투기지역·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됐던 것을 풀어주는 방법이 유력하다. *투기과열지구는 9억 원 이하면 주택담보인정비율(LTV) 40%, 9억 원 초과면 20%가 적용되고, 15억 원 초과는 대출 불가.. 총부채상환비율(DTI)은 40% *조정대상지역은 9억 원 이하는 50%, 9억 원 초과는 30%,. DTI도 50% - 따라서 투기지역·투기과열지구에서 해제되면 부동산 규제가 완화돼 집을 사고 파는 게 수월해진다. 부동산 규제 완화는 부동산을 살리기 위해서다. - 부동산 규제 완화는 부동산을 살리기 위해서다. - 현재 통계에 의하면 전국 미분양 아파트는 6만 가구. *국.. 2023. 1. 4.
올해 4월부터 개정되는 국세징수법 개정안 내용 *전세사기 방지법. 집주인 미납 조세 정보 가능과 세금 우선 변제 법칙 26일 국회 본회의를 국세징수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시행시기는 2023년 4월 1일 이후 열람 신청분부터다. 내용은 크게 2가지인데 ▲전세 임차인이 집주인 동의를 받지 않아도 국세 체납액을 열람 가능한 점. ▲집이 경매나 공매로 넘어가더라도 체납한 세금보다 보증금을 우선적으로 변제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하나씩 자세히 살펴보자. 1. 전세 계약 전에 동의를 받은 경우에만 미납조세 정보 열람이 가능했으나, 4월부턴 동의없이 조회 가능 ▲ 등기부등본으로 저당권을 확인할 수 있지만, 세금 미납은 확인이 어려웠다. 집주인이 거부하면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고 혹시나 불이익을 받거나 향후 문제가 생길까 열람 요청을 하는 경우가 드물었음. ▲ 그러나 개정안 이후에는 임대차 계약일부터 임차 개시일까지 임차인이 집 .. 2023. 1. 1.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LTV, 중도금 대출 보증 무주택자, 1 주택자에 한해 주택 가격과 상관없이 주담대 비율 완화 ▲ 주택담보대출 비율(LTV) 50% 완화 *주택 가격과 지역에 무관. 단, 다주택자 및 1 주택자는 현행 유지 *LTV는 (대출 금액/아파트 가치) * 100을 말한다. LTV가 50%, 주택 가격이 10억 원이면 5억 원까지 가능 ▲ 이르면 내년 초부터 적용 예정 *현재 LTV 인정 비율은 규제 지역은 20~50%인데,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지역은 9억 원 이하는 40%, 9억 원 초과 시 최대 20%, 15억 원 이상은 대출 불가 *비규제 지역의 경우 70% ▲ 그러나 '총부채 원리금 상환비율(DSR) 40% 초과 금지', 기준 금리 상승에 따라 주택담보대출, 전세, 신용 대출이 연 7% 금리에 따라 고액 연봉자에게나 완화지, 평범.. 2022. 11. 1.
전월세 계약 전 확인해야 하는 필수 서류 4가지. 전세 사기 방지법, 깡통전세 피하는 방법, 깡통전세 방지법 전세 사기 방지법. 깡통전세 피하는 방법 전세 사기나 깡통전세에 관한 이야기는 이전 포스팅에서 이야기를 했으니, 참고하면 되고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세 계약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을 몇 가지 추가해 요약정리를 해보았다. 사회초년생이 알아야 할 것. 역전세와 깡통전세 피하기. 역전세와 깡통전세란? 집을 구할 때 확인해야 하는 요소는 많은 게 있다. 이중 나의 보증금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지를 확인하려면 깡통전세인지, 보증보험 확인, 근저당 등을 살펴봐야 한다. 이때 역전세와 깡 washere.tistory.com 1. 등기부등본 확인하기 등기부등본을 확인하는 기본적으로 집에 문제가 있는지 1차 확인을 위해서이다. 대부분 집주인 빚을 확인하기 위해서다. 아래와 같은 말들이 있으면 위험하니, 안 하는 것이 좋다.. 2022. 10.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