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금융, 절약 상품 및 정부 지원금 안내119 토스뱅크 예금 금리 5천만 원 이상 예치시에 금리 4% 적용 *올해 마지막 FOMC 기준금리 상승률은? 곧 올해 마지막 FOMC가 열린다. ▲ 'FOMC(Federal Open Market Committee)'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라는 뜻으로 1년에 8번 열리며, 미국의 경제 전망과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미국의 달러는 기축통화이자, 세계의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전 세계가 주목한다. ▲ 특히 한국은 미국의 기준금리 기조를 따라가기 때문에 미국이 오르면 한국도 오른다. ▲ 현재 한국의 기준금리는 3.25%, 미국은 3.75~4.0%다. 올해 마지막 FOMC에선 대부분 0.5%p를 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내년 상반기까지 미국의 기준금리가 4.75~5.25% 형성돼야 인상이 멈출 것이라 보고 있다. ▲ 물가 안정세가 높지 않아 경기 침체가 우려되는 상황이라 인상 속도는 낮추고 길게 가져가는 것 같다... 2022. 12. 12. '금융투자소득세'란? 금투세 유예? 금융투자소득세 채권과 코인, 해외주식, 원천징수는 어떻게 될까? 현재 주식 거래를 하면, 주식을 팔 때 '증권거래세'라는 명목으로 0.23% 수수료를 떼 간다. 일반 개미가 아닌 대주주는 주식 양도 차익에 대해 20% 양도소득세를 낸다. 차익이 3억 원 이상인 경우 25%를 낸다. *현행 세법상 대주주는 상장 주식 종목 10억 원 이상 보유, 혹은 주식 지분율이 일정 규모(코스피 1%·코스닥 2%·코넥스 4%) 이상인 경우를 의미한다. 그런데 현재 존재하는 증권거래세의 경우, 주가 하락으로 돈을 잃는 경우에도 내야 했다. 이는 취지에 맞지 않으니 손 보거나 없애려고 했었는데, 그렇다고 증권거래세를 없애면 걷어들이는 세금이 줄기 때문에 '금투세'를 만들고 도입하려는 계획이다. '금투세'란?? 금투세는 '금융투자소득세' 줄임말이다. 주식이나 펀드 등으로 일정 수익 이상을.. 2022. 11. 24. 2023년 출시 예정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가입조건 및 기업 대상은? 개편된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2022년 청년내일채움공제 신규 신청이 중단됐다. 가입 물량이 소진됐기 때문. 하지만 아예 청년내일채움공제가 없어지는 것은 아니고, 2023년 예산안이 확정된 후 다시 사업이 진행된다. 단, 예산이 삭감됐기 때문에 보상안은 전보다 축소됐다. 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조건은? 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는 가입기간 2년과 3년짜리인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로 나뉜다. ▲ 청년내일채움공제와 청년내일채움공제 플러스는 가입기간이 2년과 3년의 차이로 납부 금액과 만기 후 금액의 차이가 있다. ▲ 또한, 가입기간이 2년인 청년내일채움공제는 고용보험 가입이력이 없거나, 최종 학력 졸업 후, 총 가입기간이 12개월 이하인 경우만 가능하다. 그 외.. 2022. 11. 21. 22.11.19.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 비교. 금리 5% 시대. *5대 은행 정기예금 금리는? 앞으로 금리 인상 기조는 어떨까 금리 인상에 따라, 예적금 금리도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5대 은행 정기예금 잔액은 올해 166조 원이나 폭등 이에 사람들은 예적금 가입, 해지를 반복하며 상품을 옮기기도 하고, 예적금 금리보다 낮은 금리로 대출을 받아 고금리 특판 예금에 넣어 단기로 차익을 얻으려는 사람들도 있다. ▲ 전반적인 시장 상황이 좋지 않고, 예적금 금리 상승으로 예적금을 이용한 재테크. 이름하여 예테크를 하는 것 ▲ 다만, 예금 금리가 5%여도 일반 과세를 제하면 실수령 이자율은 약 4.23%인 점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내년까지 미국이 긴축 정책에 따라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한만큼, 금리는 더 오를 가능성이 크다. ▲ 한국 역시 미국의 금리 인상 기조를 따라가기 때문에 22.11.24.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 2022. 11. 20. 경기도 청년 복지! 청년기본소득 4분기 시작. *청년기본소득이란? '청년기본소득'이란? 청년의 사회적 기본권 보장 지원을 위한 경기도의 기본 소득 제도 지원내용 ▲ 1인당 분기별 25만 원(최대 100만 원) 기본 소득 지원 *현재는 마지막 분기인 4분기 신청 기간 ▲ 단, 기초수급자의 경우 일시금으로 지급 가능(수급자 증명서 제출 필수) ▲ 지급액은 지역화폐로 지급 모집일정 및 지원 대상 ▲ 22.11.01. 09:00 ~ 22.11.30. 18:00. 까지 ▲ 경기도 거주하는 만 24세 청년 *단, 신청일을 기준으로 3년 이상 계속 거주하였거나, 합산해 10년 이상 거주한 경우만 가능 신청방법 및 제출서류 ▲ '잡아봐'에서 온라인 접수 ▲ 신청서, 주민등록초본(신청기간 내 발급본) ▲ 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해당자에 한해서 제출) ※ 신청일 현재 발급분, 발생일·신고.. 2022. 11. 2.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