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금융, 절약 상품 및 정부 지원금 안내111 22.11.19.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 비교. 금리 5% 시대. *5대 은행 정기예금 금리는? 앞으로 금리 인상 기조는 어떨까 금리 인상에 따라, 예적금 금리도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5대 은행 정기예금 잔액은 올해 166조 원이나 폭등 이에 사람들은 예적금 가입, 해지를 반복하며 상품을 옮기기도 하고, 예적금 금리보다 낮은 금리로 대출을 받아 고금리 특판 예금에 넣어 단기로 차익을 얻으려는 사람들도 있다. ▲ 전반적인 시장 상황이 좋지 않고, 예적금 금리 상승으로 예적금을 이용한 재테크. 이름하여 예테크를 하는 것 ▲ 다만, 예금 금리가 5%여도 일반 과세를 제하면 실수령 이자율은 약 4.23%인 점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내년까지 미국이 긴축 정책에 따라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한만큼, 금리는 더 오를 가능성이 크다. ▲ 한국 역시 미국의 금리 인상 기조를 따라가기 때문에 22.11.24.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 2022. 11. 20. 경기도 청년 복지! 청년기본소득 4분기 시작. *청년기본소득이란? '청년기본소득'이란? 청년의 사회적 기본권 보장 지원을 위한 경기도의 기본 소득 제도 지원내용 ▲ 1인당 분기별 25만 원(최대 100만 원) 기본 소득 지원 *현재는 마지막 분기인 4분기 신청 기간 ▲ 단, 기초수급자의 경우 일시금으로 지급 가능(수급자 증명서 제출 필수) ▲ 지급액은 지역화폐로 지급 모집일정 및 지원 대상 ▲ 22.11.01. 09:00 ~ 22.11.30. 18:00. 까지 ▲ 경기도 거주하는 만 24세 청년 *단, 신청일을 기준으로 3년 이상 계속 거주하였거나, 합산해 10년 이상 거주한 경우만 가능 신청방법 및 제출서류 ▲ '잡아봐'에서 온라인 접수 ▲ 신청서, 주민등록초본(신청기간 내 발급본) ▲ 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해당자에 한해서 제출) ※ 신청일 현재 발급분, 발생일·신고.. 2022. 11. 2. 22.11.01. 파킹통장 금리 비교 *가장 높은 것은 4% 기준금리 상승으로 파킹통장 예적금 금리가 오르고 있다. 발맞춰서 파킹통장 금리도 오르는 추세 여기서도 역시 저축은행이 공격적으로 올리고 있고, 가장 높은 건 4% 금리 ▲ 저축은행 예금 금리가 오르는 이유와 마찬가지로, 자금 유출을 막기 위함이다. PF, 채권 등 신뢰도 하락으로 자금 흐름이 끊겼고, 1금융권도 예적금 금리가 높아 돈이 안정적인 1금융권으로 몰리고 있다. ▲ 저축은행 자금 유출 위기가 심각해지자 (*과거 부산은행 뱅크런 사태도 있었고) 이를 막기 위해 공격적으로 예적금 금리, 파킹통장 금리까지 올린 것이다. ▲ 예적금 금리는 장기간 돈을 넣는 경우가 대부분이니, 자금 유출을 안정적으로 막을 수 있다. 레고랜드 사태 정리 *부동산 PF 리스크, 지자체 채권 문제로 채권시장 흔들 저축은행도 .. 2022. 11. 1. 1억 원 만들기 '청년도약계좌' 언제 출시될까? 정확한 출시일과 금리는? 윤석열 정부가 애당초 '1억 원 만들기'로 대대적으로 홍보를 한 '청년도약계좌(청도계)' ▲ 최근 국정감사에서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 연초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290만 명이 신청했다. 당초 예상 가입자를 38만 명으로 잡은 잘못된 예측 때문에( + 잘못된 행정 절차로 사회 초년생은 가입을 할 수 없는) 종합소득세가 확정되는 7~8월에 추가 가입자를 받기로 했었다. ▲ 하지만 윤석열 정부의 반대와 이를 만회하기 위해 '청년도약계좌'를 출시하기 위해서 가입을 받지 않았다. ▲ 청년도약계좌를 위해 가입하지 않은 사람들도, 이르게 해지를 한 사람들도 있음에도 현재까지 출시일이 나오지 않았다. *하지만 청년도약계좌가 1억 원에서 5천만 원으로 바뀌긴 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은? ▲ 만 19∼.. 2022. 10. 24. 22.10.21. 저축은행 예금 금리 비교 *가장 높은 것은 6.5% 저축은행들이 예금 금리를 공격적으로 올리고 있다. 일부 저축은행에선 특판으로 연 6.5% 정기예금도 등장했다. *한국투자 저축은행 서울/경기 지역 *참고로 제1 금융권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시중은행(KB, 신한, 하나, 우리,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등), 2 금융권은 저축은행 그 외는 사금융권으로 가급적 절대 받지 말아야 할 사채 ▲ 저축은행이 공격적으로 금리를 올리는 이유는 기준금리 상승에 따라 시중은행도 급격하게 금리를 올리고 있어, 저축은행에 있는 돈이 시중은행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이다. 즉, 자금 유출을 막기 위한 것 ▲ 현재 저축은행 1년 만기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연 5.15% *22.10.20. 기준 날마다 고금리 예적금 상품이 나오지만, 저축은행은 울며 겨자 먹기로 올리는 것이다. ▲ 규.. 2022. 10. 22.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