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금융, 절약 상품 및 정부 지원금 안내116 50년 주담대 판매 중단 축소, 나이 제한을 두는 추세. 이유는 뭘까? 주담대 만기 50년짜리가 판매가 중단되는 추세다. 최근 2023년 2분기(4~6월) 가계부채가 1분기(1~3월)에 비해 10조 원 가까이 늘었다. 올해 1분기는 작년 4분기에 이어 가계부채가 줄어드는 추세였는데 다시 증가세로 바뀌었다. 가계부채는 은행이나 카드사 대출뿐만 아니라, 대부 업체나 다른 공적 금융기관, 결제 예정인 신용카드 사용금액을 모두 포함한다. 이중 눈에 띄는 것은 주택담보대출이다. 물론 주담대는 애초에 큰돈을 빌리기 때문에 비율이 클 확률이 높다. 그렇기에 가계부채가 늘어난다는 것은 더 큰 위험이기도 하다. 2분기 가계대출은 총 1,862조 8천억 원이었고, 그중 주담대는 무려 1,031조 2천억 원이다. 내 집마련을 위한 제도인 특례보금자리론, 50년 만기 주담대가 출시되면서 파이가 .. 2023. 8. 27. 지하철, 버스 통합권 'K패스' 내년 도입 예정. 대중교통비 20~30% 환급 가능 정부와 여당이 지하철과 버스 등 대중교통 통합권 'K패스'를 도입할 예정이다. K패스는 지하철과 버스 등 대중교통을 월 21회 이상 이용할 경우, 대중교통비의 20%를 환급해 주는 정책이다. 월 60회 지원 한도 내에서 연간 최대 21만 6천 원까지 환급을 해주는 제도이며, 청년층은 연간 최대 32만 4천 원, 저소득층은 연간 최대 57만 6천 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다. 또한, K패스는 신용카드 등 기존 교통카드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모두 적용된다. *이동거리와 관계없이 마일리지로 환급받을 수 있는데, 적립 비율은 청년은 30%, 저소득층은 53.3%다. 비용은 정부와 지자체가 절반씩 부담하며, 대중교통 이용횟수에 따라 환급비는 달라질 수 있다. 정부는 조만간 내년 예산안에 대중교통 환급 시스.. 2023. 8. 24. 정부 주택청약저축 혜택 강화 및 금리 인상 확정 *기타 혜택은? 주택청약저축 혜택 강화 결정 금리 2.1%에서 2.8%로 현재 청약저축 금리는 2.1%인데, 이를 2.8%로 0.7%p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작년에 이은 인상으로 총 1%p를 올렸다. 이렇게 되면 약 2,600만 명이 청약저축 금리 인상에 따른 혜택을 볼 것으로 전망된다. 청년 우대형 종합저축 금리는 기존 3.6%에서 4.3%로 인상한다. 청약통장 보유자는 구입자금 대출 시 금리 할인을 기존 최고 0.2%p에서 0.5%p로 확대 *통장가입 5년 이상일 경우엔 0.3%p, 10년 이상은 0.4%p, 15년 이상은 0.5%p 우대금리 적용. 청약통장 해지 시에는 우대 금리 적용 제외 청약저축 금리 인상에 따라 대출 금리도 소폭 인상한다. ▲디딤돌 대출은 기존 2.15~3.0%에서 2.45~3.3%, ▲.. 2023. 8. 18.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및 신청방법, 금리, 우대금리 적용방법, 중복여부 정리 요약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만 19세 ~ 만 34세.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까지 인정 개인소득 연 6천만 원 이하, 중위소득 180% 이하 *개인소득이 0원인 경우엔 가입 불가하다. 따라서 개인소득이 없는 대학생이나 무직자분들은 가입이 불가하다. 공기업, 공무원은 가입이 가능하다. 가입직전 3개년도 내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였던 사람들은 가입 불가 23년 6월 15일 출시돼 올해 12월까지 매월 가입자를 받을 예정이다. 청년도약계좌 가입혜택 및 금리 청년도약계좌는 개인소득 6천만 원 이하 + 중위소득 180% 이하, 금융소득종합과세 비대상자였던 사람들에겐 정부기여금을 지급하고 비과세 혜택을 준다. 정부기여금은 본인납입금(월 최대 70만 원)과 납입금에 비례한 정부 기여금을 지원(3.0%~6.0%) + 이자소득.. 2023. 6. 12. 수익률 142%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 출시. *군인, 공무원, 공공기관, 가입가능 여부 및 기타 가입자격 정리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 총 정리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은 목돈을 만들어주는 금융 상품으로 경기도에 거주하는 청년이 매달 근로(소상공인, 상용직, 임시직, 일용직 모두 가능)를 하면서 매달 10만 원 저축 시 2년 후 580만 원 지급한다. 즉, 매달 10만 원을 2년간 저축하면 원금 240만 원 + 이자 240만 원 + 지역화폐 100만 원으로 총 580만 원 지급으로 수익률 142% *총 4,000명 선발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 지원내용 및 사업기간 매월 10만 원 저축 시 2년 후 최대 580만 원 지급 *경기도 거주와 매달 근로, 교육을 이수해야 함 *2023년 7월부터 2025년 6월까지 총 24개월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 신청대상 및 가입자격 ▲ 2023년 5월 12일 기준.. 2023. 5. 15.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