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경제와 사회' 카테고리의 글 목록 (49 Page)
본문 바로가기

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경제와 사회322

다음 달부터 은행 연봉 이내 신용대출 규제 완화, 청년 주택담보대출 완화, LTV 완화 1. 연 소득 이내 신용대출 규제 폐지(=연봉 이내 신용대출 규제 완화) 21년 8월부터 대출 규제가 조금씩 강화되면서 1금융권을 비롯한 은행에서는 신용대출이 연봉 이상으로 불가했다. 만약 내 연봉이 4천만 원이라면, 4,500만 원을 대출할 수가 없는 것 코로나 이후 저금리라 돈을 많이 풀기 위한 정책 중 하나였는데, 사태가 많이 좋아지고 있자 돈줄을 쥐는 정책 중에 하나였다. 하지만 너무 과도하다는 얘기가 있는데, 이에 다음 달(22년 7월)부터는 이 규제가 없어진다. 다만, 원리금상환비율(DSR)이 적용된다. *제 1금융권은 40%, 2금융권은 50% 원리금상환비율(DSR)은 대출 원금과 이자를 갚는 데 쓰인 돈이다. 1금융권(40%) 기준으로 내 연봉이 4천만 원이라면, 내가 갚아야 할 돈이 1년.. 2022. 6. 14.
화물연대 파업의 이유. 화물연대 파업 정리 요약 안전운임제 일몰제란 무엇일까? 22년 6월 7일부터 화물차 기사들의 노동조합인 화물연대 조합원 약 2만 5천 명이 무기한 파업에 돌입했다. *조합원이 아님에도 파업에 참여한 화물 노동자들도 많다고 한다. 이들은 왜 파업을 하는 걸까? 가장 큰 이유를 하나만 살펴보자 최저 운송료 보장 요구(=안전운임제) - 화물을 옮기는 대가로 화물차 기사들은 운송료를 받는다. 문제는 운송료에 기름값, 수리비 등이 모두 화물차 기사들의 몫인 것이다. 지금처럼 휘발유나 경유값이 크게 올랐을 때는 같은 운송료임에도 불구하고 본인의 몫이 크게 줄어든다. - 현재 기름값 외에도 운수회사에 내야 하는 지입료, 화물차 보험료와 차주원가 등이 19년에 대비해 21년에는 61~67% 상승했다. - 이런 이유로 생계를 위해서 끼니를 거르거나, 편의점 삼각김밥으로 해결.. 2022. 6. 8.
주택담보대출 연 금리 몇 프로까지 오를까? 연내 주담대 금리 예측 얼마 전 한은에서 기준금리를 0.25%p 올렸고, 현재 금리는 1.75%이다. 연 내 몇 차례 더 올릴 것으로 보이는 본격적인 금리 상승기가 된 것. 집을 사기 위해 주택담보대출을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정말 좋지 않은 소식이다. 기준금리가 오르면 대출 금리도 상승하기 때문이다. 현재 금리 상승기임에도 '고정 금리'가 아닌 '변동 금리'를 택하고 있는데, 고정 금리는 변동 금리보다 금리가 1% 정도 높기 때문에 현재로써 큰 부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대출을 생각한다면 이는 다시 한번 고려해봐야 할 수도 있다. 연말 기준 금리는 2.5%까지 상승할 수도 그렇다면 연내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얼마나 오를까? 한은 총재는 얼마전 간담회에서 위와 같은 발언을 하였다. 현재 기준 금리인 1.75%에서 .. 2022. 6. 3.
물가상승 인플레이션 유행, 슈링크플레이션, 베케플레이션, 런치플레이션, 푸틴플레이션까지 거듭된 인플레이션, 물가상승률이 극을 달하고 있다. 현재 공급난이 좋지 않기 때문에 물가가 오른다는 것은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언제나 그렇듯 공급이 안정되면 공급난을 이유로 오른 가격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예를 들어 그동안 치킨은 재료값을 이유로 계속 가격을 올렸는데, 시중 소도매보다 비싸게 팔아 마진을 남긴 것이 일부 브랜드고, 심지어 아주 오랫동안 닭고기 가격을 담합을 해서 폭리를 취해왔다. 서민들이 물가상승에 대해 반감이 더욱 커지는 이유다. 그렇다고 월급이 오르는가? 그렇지 않으니 어이가 없을 뿐. 아무튼 현재 물가상승률은 굉장히 심각하다. 2022.05.31 - [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경제와 사회] - 한국 기준금리 상승에 따른 영향, 은행 예적금 금리 상승, 은행 예금 추천 202.. 2022. 6. 1.
한국 기준금리 상승에 따른 영향, 은행 예적금 금리 상승, 은행 예금 추천 얼마 전 한국은행 정례회의에서 예상대로 기준금리는 0.25%p 상승했고, 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4.5%를 내놨다. 따라서 현재 한국 기준금리는 1.75%, 당분간 물가상승률은 5%를 넘냐 안 넘냐인데, 전문가들은 비슷하게 상회하거나 넘을 것을 예상하고 있다. 2022.05.25 - [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경제와 사회] - 22.05.26에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몇 % 포인트 올릴까?, 기준 금리 인상안 이에 대한 영향은? 1. 기준금리가 상승한 만큼 은행 예적금 금리가 상승한다. 상승 직후, 우리은행, NH농협은행, 하나은행, 신한은행 등은 예적금 상품에 대해서 최대 0.4% 상향 조정을 했다. 앞으로도 예적금 금리는 인상할 것이다. *이중 케이뱅크가 가장 선두적인데, 예금 금리가 3%가 넘는다. 현.. 2022. 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