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경제와 사회' 카테고리의 글 목록 (48 Page)
본문 바로가기

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경제와 사회322

원달러 환율이 오르는 이유는 뭘까? 22년 06월 23일. 1달러가 1300원을 넘으며 최고점을 갱신했었다. 환율은 뭐고, 환율은 지금 왜 오르고 있는 걸까?? 원달러 환율의 원리 원달러 환율이 올랐다는 것은 뭘까? 기존에는 천 원으로 1달러를 살 수 있었던 것이, 지금은 거의 1,300원을 줘야 1달러를 살 수 있게 된 것이다. 달러 가치가 올라가는 데는 크게 2가지가 있다. 1. 이자율 평가에 따른 수요 상승 기준금리 기준으로 한국이 2%, 미국이 3%라고 해보자. 그럼 미국에 돈을 넣는 게 금리가 좋아서 이득이다. 그러면 한국에서 돈을 넣던 투자자들은 원화를 달러로 바꾼 뒤에 미국에 돈을 넣으려고 할 것이다. 그럼 달러의 가치가 오르며, 반대로 원화의 가치는 하락한다.(환율 상승) 2. 물가 수준에 의한 결정 아주 심플한 상황으로 예.. 2022. 6. 24.
22.06.21. 부동산 대책 정리, 실거주 의무기간 완화, 실거주 의무기간 조건 완화 '상생임대인' 제도 개선. *참고로 갱신 계약만이 아닌 새로운 세입자와 계약을 맺을때도 직전 세입자 전월세 가격에서 5% 이내여도 상생임대인으로 인정 2022.06.21 - [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부동산] - '상생임대인'이란? 상생임대인 지원제도 개선, 일시적 1세대 2주택자 양도세는?, 1세대 1주택자 양도소득세 상생임대인 다주택자는? 계약 시점엔 다주택자였던 집주인도 집을 팔고 1주택자 전환 계획이 있다면 혜택을 받음. 예를 들어 2채를 보유한 경우 임대를 주고 있는 한 채를 상생계약하면 해당 집을 팔 때 실거주하지 않아도 양도세 비과세 혜택을 받음. 3주택자라면 임대를 준 2채 중 첫 번째 집을 팔 때는 혜택을 못 받고, 집 2채를 처분한 뒤 1주택자가 되면 혜택을 받게 됨. 임차인 전세대출.. 2022. 6. 23.
전기차 충전요금 인상? 전기차 전기충전요금 할인특례제도 종료. but 충전요금은 동결! 2017년부터 도입된 전기차 충전요금 할인특례제도 2017년부터 전기차 보급을 유도하기 위해 충전요금에 대한 할인특례를 도입했었다. 그리고 기간별로 할인폭을 점차 감소시키다 22년 6월까지만 제도를 시행하고 종료할 예정이었다. *전기차 충전요금은 2017년 1월 ㎾h당 173.8원에서 2020년 7월 225.7원, 지난해 7월 292.9~309.1원으로 올랐다. 다음 달부터는 전기차 충전요금이 ㎾h당 313.3원으로 오를 예정이었음. 다만, 기름값이 폭등하면서 휘발유와 경유차에 연료비 부담이 굉장히 커졌다. 이 때문에 연료 효율이 좋은 하이브리드카를 찾는 사람이 늘어났고, 이참에 전기차를 찾는 사람도 많아졌다. *500km를 주행한다고 가정할 때 전기차(테슬라 모델3 기준)와 내연기관차는 현재 기준으로 .. 2022. 6. 21.
윤석열 정부의 부동산 정책, 주식 양도세, 종부세, 개소세 관련 정리, 새정부의 금융투자소득세, 금융세 윤석열 정부의 정책들은 대선과 초기에 드러났으나, 어떻게 할 것인지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그중 대표적인 자동차세, 유류세, 주식 양도세, 부동산 종부세 및 기타 세금 관련해서 몇 가지 정리를 하고자 한다. 대부분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대처로 보인다만, 법인세 종부세들은 대부분 가진 자들을 위한 정책으로 인식이 되는 경우가 많다. 복지로 인해 세금이 많이 필요할 텐데, (부채도 많이 쌓여있고) 법인세와 종부세를 줄이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도 꽤나 있을 것이다. 자동차 및 유류 관련 - 자동차를 구매할 때 내는 개소세(개별소비세) 감면 조치는 올 12월 말까지 6개월 연장. 개소세율은 30%를 낮춘 3.5%로 이전과 동일 - 친환경차 구입 시 개소세 감면 30% 인하 연장 *하이브리드카의 경우 이르면 2.. 2022. 6. 19.
미연준 기준금리 인상, 미국 기준금리 인상과 한국 기준금리에 주는 영향,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국내에 주는 영향 미국의 기준 금리 인상 *자이언트 스텝 미국의 중앙은행. 연준(연방준비제도)이 미국 현지시간 기준으로 22년 6월 15일에 빅 스텝(0.5%p)을 넘어 자이언트 스텝(0.75%p)을 밟았다. 이로써 미국의 기준금리는 1.75% - 기준금리 1% -> 1.75% - 성장률 2.8% -> 1.7% - 물가상승률 전망치 4.3% -> 5.2% *참고로 연준이 목표한 물가상승률은 2%. 기준금리 상승은 이전에 얘기한 것처럼 돈을 풀어서(양적완화) 소비심리를 증가시킨 건데, 코로나 사태가 안정되고 공급난이 겹치면서 자산 가격과 물가 상승률이 너무 치솟았다. 그래서 소비심리를 줄이고 물가상승률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돈을 거두는(양적긴축) 정책을 시행하는 것 미국 연말 예상되는 기준금리는? - 미국이 이번 자이언트 스.. 2022. 6.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