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을 투자 대상으로 보는 것에 대한 세부적인 의견은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달라지는 것 같다. 부동산을 여러 개 소유하지 않는 경우, 본인이 집을 사게 되면 집값이 올라도 그 집에 걸려있는 돈은 실질적으로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반면 집값이 상승하면 자산 가격이 오르니 그 자체가 돈이 움직이는 것이다 등 부동산을 투자 대상으로 보면 안 된다는 등 여러 의견이 있는 것 같다.
아무튼 부동산을 구입하거나 공부할 때, 부동산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중요한 2가지 지표가 있다.
첫 번째, 주택구입부담지수(K-HAI ; Korea-Housing Affordability Index)
- 주택구입부담 정도와 변화 추이를 파악하기 위해 한국주택금융공사가 만든 지수 중에 하나다.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설명에 의하면 여기서 대출상환가능소득이란 중간소득가구가 중간 가격의 주택을 구입하기 위해 받은 표준대출(원리금 지급액)을 상환하기 위해 매달 필요로 하는 소득금액으로, DTI가 약 25%이면 원리금 지급액의 약 4배가 대출상환 가능소득이다.
2016년 2분기 현재 K-HAI는 전국 기준 55.3으로 이는 가구소득 월 439만 원인 중간가구가 2억 4,000만 원인 중간 가격 아파트를 구매할 때 대출 만기 20년, LTV 47.9%, DTI 25.7%인 원리금 균등상환방식 표준대출 가정 하에 주택담보대출 상환으로 가구소득의 14.2%4)(매월 약 62만 원)를 부담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말을 어렵게 표현했다. 저기서 어떤 식으로 계산하는지는 알 필요가 없다. 중요한 건 지수만 보면 된다. 지수가 100이면 자기 소득 25%를 원리금을 상환하는 데 쓴다는 말이다.
주택금융통계시스템이라는 곳에 들어가면 전국의 주택구입부담지수를 볼 수 있다. 아래 사진을 살펴보자.
최근 몇 년간에 주택구입부담지수와 증가율을 나타낸 것이다. 20년 3분기 기준으로 주택구입부담지수는 평균은 52.1이다. 자기 소득에 13% 정도를 주택 대출 상환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다. 언론에서 난리 친 거 치고는 준수해 보인다. 하지만 지방을 제외한 특히 서울은 전혀 그렇지 않다.
서울에 주택구입부담지수는 144.5. 본인 소득의 36%. 거의 40%를 대출을 상환하는 데 쓰이는 것이다. 서울의 주택 값이 얼마나 올랐는지, 서울 및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가 얼마나 심한지를 제대로 보여주고 있다. 전문가들 일부 의견에 의하면 정부가 지금 추진하는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려면 (*특히 3기 신도시로 인한 물량 공급) 3년은 있어야 하기 때문에 1~2년 동안 부동산은 더 강세일 것이라고 한다.
시장의 흐름에 따라 이 지수는 급변할 수 있는 데, 이를 조심해야 한다.
두 번째, 경락률 ; 경매물건의 최종 낙찰가를 감정평가액 대비 계산한 비율
경매물건의 감정평가액이 100만 원인데, 80만 원에 낙찰됐으면, 경락률은 80%다. 반면, 110만 원에 낙찰된다면 경락률은 110%다.
아래는 지역별 및 용도별 경락률 자료다. 2018년 경락률과 Stress 경락률(2002~2018년 지역별·용도별 연평균 경락률 가운데 가장 낮은 경락률을 선택하여 조합) 구성 자료다. 이때도 지역별 편차는 상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2018년 아파트 기준으로 서울은 103, 수도권은 90, 그 외 광역시 및 지방은 76~85 사이를 보였다.
2019년의 경락률은 80% 정도였다고 하며, 2020년의 경락률은 110%라고 한다.(*아래 유튜브 채널 참고함) 당연히 주택을 구입하는 데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감정평가액과 낙찰가를 이용한 경락률을 참고하여 현재 부동산 자산 가격이 강세인지 약세인지를 파악할 수 았다.
이 글은 아래 유튜브 동영상을 보고 참고하여, 자료를 좀 더 덧붙였다. 유익한 콘텐츠니 글 말고 저 영상을 봐도 좋을 것 같다.
'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 > 경제와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대 의심받던 반려견 경태 사건 정리와 택배 기사 근황 (14) | 2021.01.23 |
---|---|
무상증자와 유상증자 차이. 호재? 악재? 직접금융과 간접금융이란? (1) | 2021.01.22 |
이케아 코리아는 '꿈의 직장'이 아니게 됐다. 이케아 24~27일 파업예정 (4) | 2020.12.22 |
넷플릭스법 10일 시행, 넷플릭스법과 망 품질 유지란? (2) | 2020.12.10 |
대한항공의 아시아나 인수? 산업은행을 등에 업고 (8) | 2020.1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