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64 Page)
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046

물가상승 인플레이션 유행, 슈링크플레이션, 베케플레이션, 런치플레이션, 푸틴플레이션까지 거듭된 인플레이션, 물가상승률이 극을 달하고 있다. 현재 공급난이 좋지 않기 때문에 물가가 오른다는 것은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언제나 그렇듯 공급이 안정되면 공급난을 이유로 오른 가격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예를 들어 그동안 치킨은 재료값을 이유로 계속 가격을 올렸는데, 시중 소도매보다 비싸게 팔아 마진을 남긴 것이 일부 브랜드고, 심지어 아주 오랫동안 닭고기 가격을 담합을 해서 폭리를 취해왔다. 서민들이 물가상승에 대해 반감이 더욱 커지는 이유다. 그렇다고 월급이 오르는가? 그렇지 않으니 어이가 없을 뿐. 아무튼 현재 물가상승률은 굉장히 심각하다. 2022.05.31 - [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경제와 사회] - 한국 기준금리 상승에 따른 영향, 은행 예적금 금리 상승, 은행 예금 추천 202.. 2022. 6. 1.
한국 기준금리 상승에 따른 영향, 은행 예적금 금리 상승, 은행 예금 추천 얼마 전 한국은행 정례회의에서 예상대로 기준금리는 0.25%p 상승했고, 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4.5%를 내놨다. 따라서 현재 한국 기준금리는 1.75%, 당분간 물가상승률은 5%를 넘냐 안 넘냐인데, 전문가들은 비슷하게 상회하거나 넘을 것을 예상하고 있다. 2022.05.25 - [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경제와 사회] - 22.05.26에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몇 % 포인트 올릴까?, 기준 금리 인상안 이에 대한 영향은? 1. 기준금리가 상승한 만큼 은행 예적금 금리가 상승한다. 상승 직후, 우리은행, NH농협은행, 하나은행, 신한은행 등은 예적금 상품에 대해서 최대 0.4% 상향 조정을 했다. 앞으로도 예적금 금리는 인상할 것이다. *이중 케이뱅크가 가장 선두적인데, 예금 금리가 3%가 넘는다. 현.. 2022. 5. 31.
대법원 임금피크제 무효 판결. 임금피크제는 폐지될까? 얼마 전 A씨가 회사에 소송을 걸었다. 이유는 '임금피크제 때문에 못 받은 내 월급 내놔라!' 그리고 대법원은 A씨의 손을 들어줬다. 그럼 진짜 임금피크제가 문제가 있는 걸까? 결론적으로는 임금피크제 자체가 무효화고 불합리하다고 판결한 것은 아니다. 무슨 얘기인지 조금 살펴보자. 임금피크제란? 정년을 앞둔 노동자가 더 일을 할 수 있게 하는 대신 임금을 깎는 제도다. 적용되는 회사는 정년이 있고, 나이가 들수록 임금이 함께 올라가는 호봉제를 택한 정부, 공공기관 및 대기업 등이 도입할 수 있다. *현재 직원이 300명이 넘는 회사에서는 절반 가까이가 시행하고 있다고 함. 현재 정년퇴직 나이는 최소 만 60세 이상으로 법으로 정해졌다. 이전에는 55~58세 정도였는데, 실제로는 정년을 못 채우는 경우도 많.. 2022. 5. 30.
윈도우에서 지워지지 않는 프로그램 제거하기 윈도우에서 지워지지 않는 프로그램들이 있다. 정확히 말하면 지우기 어렵거나, 까다롭거나 꺼도 다시 부팅하면 실행이 된다거나 등이다.  어쩌다 보니까 얼렁뚱땅 지인소프트에서 만든 comvoy를 깔게 됐다. 나는 다른 보안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었기에 comvoy가 필요가 없다. *보안 프로그램이 많으면 보통 충돌이 일어나 하나만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지우려고 하니까 어라? 암호를 입력하라고 한다. 암호 설정한 적이 없는데.. 얘는 어떻게 지워야 할까?     comvoy 삭제 방법  첫 번째 방법이다. 명령 프롬프트(cm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 후 아래와 같이 입력해준다. 그 후에 재실행이나 삭제를 위해선 두 번째 네모 박스 안에 있는 명령어를 입력해준다.tasklist | more | f.. 2022. 5. 26.
22.05.26에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몇 % 포인트 올릴까?, 기준 금리 인상안 한국은행이 곧 있을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소비자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정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이유는 뭘까? 미국이 현재 양적긴축 정책에 속도를 박차고 있다. 이는 포스트 코로나 이후 생긴 물류난 +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로 인한 공급난 + 물가 상승률이 너무 크기 때문. 이에 한국도 물가 상승률이 너무 크기 때문에 돈을 회수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는 것이다. *증시의 경우 미국의 양적긴축 정책으로 돈을 회수하면서 달러의 가치가 올라가면서 기축통화인 달러가 강세가 되면서 국내 투자심리도 감소함에 따라 국내 주식도 연이어 하락하고 있다. 금리 상승 이슈에 따른 미국 증시 하락도 원인 중에 하나다. 2022.05.11 - [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경제와 사회] - 금리 상승과 긴축정책으로 인.. 2022. 5.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