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57 학폭 인정한 유튜버 하늘의 남편은 프로배구 승부조작으로 징역형을 받았던 사람? 하늘하늘의 대표였었고, 유튜버로 활동하고 있는 인플루언서 하늘 과거 얼짱시대로 유명세를 탄 뒤 쇼핑몰을 내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하지만 잠잠한 듯하다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남편까지 말이다. 하늘의 논란 1) 과거 학교 폭력 하늘은 이를 인정하고 자필 사과문을 작성하였다. 2) 직원 갑질 사태 당시 잡플래닛에 1점대 평점과 혹평을 쓴 리뷰가 생겼고, 이에 대해 하늘은 2차 해명까지 함. 논란이 된 당시 퇴사율이 91%였는데, 이때 갑질 사태가 아닌 용인 물류센터가 평택으로 옮기며 상당수가 퇴사를 했기 때문이라고 함 하지만 22년 10월 기준 퇴사율은 73% *출처 : 크레딧잡 및 국민연금 2-1) 잡플래닛 1점 평점 준 직원 고소 1점 평점을 준 직원은 하늘의 유튜브 채널에 속했는데, 하늘하늘 직원.. 2022. 10. 27. 22년 12월, 23년 2월부터 적용되는 택시 기본요금 인상안 정리, 택시 할증 요금 및 기본거리. 택시 요금 인상안 22년 12월과 23년 2월부터 적용되는 택시 요금 인상 2022년 12월부터 적용되는 심야 탄력요금제 ▲ 오후 10시 ~ 11시 : 20% 할증 ▲ 오후 11시 ~ 새벽 2시 : 40% 할증 ▲ 새벽 2시 ~ 새벽 4시 : 20% 할증 *현행 새벽 12시부터 4시까지 20% 할증인데, 심야시간별로 할증 비율을 변경하는 것으로 22년 12월부터 적용 주간 기본요금 인상 *23년 2월부터 적용(서울 택시) ▲ 기본요금 3,800원에서 4,800원으로 변경 *또한, 기본거리 역시 2km에서 1.6km로 축소로 400m 감소 ▲ 이를 거리 요금으로 환산하면 132m당 100원이 131m당 100원, 시간요금은 31초당 100원에서 30초당 100원으로 가격이 인상 만약 올해 12월에 오후 11시~새벽 2시 사.. 2022. 10. 27. 대장동 사건 정리 요약 *대장동 의혹 현재까지 스토리 정리 이재명이 성남시장으로 있던 2014년 성남시 대장동에 도시개발 사업을 추진했었다. 이때 참여한 민간 사업자가 투자한 것에 비해 너무 큰돈을 벌어 의혹이 있었다. 1) 당시 성남시는 대장동 일대 땅을 사기엔 1조 원 이상에 큰돈이 들어 민간 사업자와 협력하기로 했다. 2) 2015년 투자 공개 모집을 거쳐 사업자를 선정했고, 프로젝트 금융투자회사로 '성남의 뜰'을 설립했다 3) 이때 성남도시개발공사가 25억 원을, 나머지 민간 사업자들이 합쳐서 절반을 냈다. 그중 '화천대유'라는 회사는 전체 금액의 1%인 5천만 원만 냈다. 4) 그리고 화천대유의 소유주 '김만배'와 그의 가족 및 지인 6명이 세운 '천화동인'이라는 회사에선 6%인 3억 원을 냈다. 5) 이후 가장 많이 금액을 낸 성남도시개발공사가 1순.. 2022. 10. 26. 레고랜드 사태 정리 *부동산 PF 리스크, 지자체 채권 문제로 채권시장 흔들 저축은행도 직격탄 강원도의 레고랜드 적자가 이슈다. 강원도 레고랜드의 대한 PF(프로젝트 파이낸싱)에 대한 채무불이행 때문 *프로젝트 파이낸싱 - 은행 등 금융기관이 사회간접자본 등 특정 사업의 사업성과 장래의 현금흐름을 보고 자금을 지원하는 것이다. 즉, 이번에 경우 레고랜드에 대한 사업성과 수익성이 괜찮다고 생각해, 사업을 잘 이끌 수 있도록 돈을 빌려준 것이다. 이 때문에 리스크가 크기도 하다. ▲ 강원중도개발공사(GJC)가 레고랜드를 만들면서 ABCP(자산유동화증권)를 발행해 자금을 조달해왔다. 그리고 이때 빌린 돈을 못 갚으면 강원도가 대신 갚아주겠다고 했다. (=강원도가 지급 보증을 선 채권이 된 것이다.) ▲ 그런데 강원도가 최근 이 돈을 상환하지 않겠다고 선언하자, 금융시장 전체가 흔들렸다. *ABCP(자산.. 2022. 10. 26. 코오롱티슈진 상장폐지부터 상장유지 거래재개까지 사건 정리 *주가 상승 및 전망 코오롱티슈진 상장 유지 결정. 거래 재개 후 상한가. 코오롱티슈진 코오롱티슈진 -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바이오 기업. 코오롱 계열사인 코오롱 생명과학이 미국 내에서 생명공학 R&D를 위해 설립한 회사이다. 코오롱티슈진이 유명해진 건 2017년 유전자 골관절염 치료제인 '인보사-K' 때문. 세계 최초였고, 주사 형태의 약물 치료제였다 ▲ 그러나, 2019년 5월에 '인보사-K'에 대한 식약처 허가가 취소됐다. 이유는 미국 FDA 임상시험 결과를 받는 과정에서 여러 문제가 밝혀졌기 때문 ▲ 치료제 안에 주요 기능을 담당한 세포가 종양을 일으킬 수 있는 세포로 바뀐 사실이 드러나 안정성 논란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연골세포가 종양을 일으킬 수 있는 신장유래세포(293유래세포)로 바뀜 ▲ 당시 환자들은 최고 7.. 2022. 10. 25. 이전 1 ··· 132 133 134 135 136 137 138 ··· 2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