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56 국내선 헤어스프레이 기내 반입, 위탁수하물 괜찮을까?? 비행기를 탑승할 때 제한되는 물품들이 많다. 잘 확인하지 못하면 비행기가 지연되거나, 아예 물품을 버리고 탑승해야 할 수도 있다. 대표적인 객실반입 불가한 물품 ▲ 칼·가위류, 공구류, 총기류·호신용품류, 스포츠용품류 위탁 수하물 불가한 물품 ▲ 일회용 라이터(1인당 1개까지 객실 반입 가능), 보조배터리(100Wh 이하) **리튬 배터리가 포함된 전자기기들(아이패드, 갤럭시탭 등 태블릿 PC, 노트북, 카메라 등) 그렇다면 비행기를 탈 때 헤어 스프레이는 어떻게 해야 할까? *국내선과 국제선 규정이 다름 - 국내선(기내 반입과 위탁수하물 규정이 동일) ▲ 개별 스프레이 당 500ml(0.5kg) 이하 용기만 기내 or 위탁수하물 가능 ▲ 1인당 2L(2kg) 이하까지 기내 or 위탁수하물 가능 *총용량.. 2022. 11. 9. 레고랜드에 이어 흥국생명의 콜옵션 미이행 *한국 채권 시장 신뢰도 하락, 개인 채권 매수는 증가? 한국 채권 시장 신뢰도 하락. *흥국생명의 콜옵션 미이행' ▲ 얼마 전 레고랜드 사태로 채권 시장 신뢰도가 하락했다. 특히나 이때는 신뢰도가 높은 지자체가 엮인 채권이었음에도 처음에 강원도가 돈 못 갚는다고 배 째는 바람에 신뢰도가 하락했다. ▲ 지금이야 갚겠다고 했지만, 때는 이미 늦어버린 것. 투자자들이 소극적으로 변하자 부동산PF를 비롯한 자금 흐름이 끊기면서, 건설사, 저축시장, 기업 등 돈의 흐름이 멈춰있다. 레고랜드 사태 정리 *부동산 PF 리스크, 지자체 채권 문제로 채권시장 흔들 저축은행도 직격탄 강원도의 레고랜드 적자가 이슈다. 강원도 레고랜드의 대한 PF(프로젝트 파이낸싱)에 대한 채무불이행 때문 *프로젝트 파이낸싱 - 은행 등 금융기관이 사회간접자본 등 특정 사업의 사업성과 장 was.. 2022. 11. 8. 미국 FOMC 4회 연속 기준금리 상승 *자이언트 스텝. 기준 금리 기조는 언제까지 이어질까? 많은 사람들의 예상대로, 미국의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4회 연속 자이언트 스텝(0.75%p). 이로써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4% 2022년 미국의 기준금리 발표는 12월 한 차례 남음 현재 한국의 기준금리는 3%이므로,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 차이는 현재 1% *22.11.07. 기준 한국도 이에 맞춰 11월 말 기준금리 인상할 것으로 예상됨 기준금리는 언제까지 오를까? 미연준 기준금리 인상, 미국 기준금리 인상과 한국 기준금리에 주는 영향,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미국의 기준 금리 인상 *자이언트 스텝 미국의 중앙은행. 연준(연방준비제도)이 미국 현지시간 기준으로 22년 6월 15일에 빅 스텝(0.5%p)을 넘어 자이언트 스텝(0.75%p)을 밟았다. 이로써 미국의 기준 washere.tisto.. 2022. 11. 7. 일론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 *트위터 상장 폐지, 트위터 인수 목적은? 일론 머스크 트위터 인수 ▲ 트위터 인수썰로 주가가 오르락내리락했던 트위터. 마침내 테슬라 CEO인 일론 머스크가 이를 인수했다 *주가 조작 혐의 우려로 경고도 받았었음 ▲ 트위터 인수썰을 내비친 건 22년 4월. 그러나 7월에 트위터가 가짜 계정 관리를 공개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계약을 철회했다. ▲ 이후 트위터 개인 정보 보호 문제가 불거졌는데, 머스크가 제기한 의혹이 거짓임이 드러났고 일론 머스크는 약 62조 원에 트위터를 인수하게 된다. *머스크의 계획대로라면, 이를 이유로 더 싼 값에 인수하기를 원했을 것이다. 하지만 머스크가 제기한 의혹을 증명하기가 어렵고, 트위터와 재판 중에 패소할 확률이 높아 어쩔 수 없이 원래 인수하려던 가격에 인수하게 된 것.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를 인수한 이유는? ▲ .. 2022. 11. 6. 현재는 반도체 침체기. 반도체 수요 감소 원인은 뭘까? 반도체 호황기? NO. 현재는 반도치 침체기 ▲ 현재 반도체 산업은 침체기다. 현재 반도체 수요는 줄고 있다. 즉, 생산량은 줄고, 쌓아둔 재고는 늘어나는 중이다. ▲ 3분기 반도체 생산량은 2분기 대비 11% 감소하였고, 이는 2008년 이후 최대 감소치다. *재고는 2분기 대비 15.9% 증가 ▲ 반도체 침체기 여파로 3분기 실적 발표가 난 뒤에, SK하이닉스는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밀려 코스피 시총 4위로 내려갔었다. *현재는 나흘 만에 시총 3위를 되찾음. 그래도 여전히 주가는 파란불 반도체 수요 감소 원인은? 1) 펜데믹으로 인한 보복 소비가 전망이 됐었다. 이 때문에 반도체 생산 계획을 늘려 생산을 했었다. 하지만 경기 침체로 되려 소비가 줄었다. 2) 미국과 중국의 갈등 심화 *한국에 있어 양국.. 2022. 11. 5. 이전 1 ···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2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