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의 예상대로, 미국의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 4회 연속 자이언트 스텝(0.75%p). 이로써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4%
- 2022년 미국의 기준금리 발표는 12월 한 차례 남음
- 현재 한국의 기준금리는 3%이므로,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 차이는 현재 1% *22.11.07. 기준
- 한국도 이에 맞춰 11월 말 기준금리 인상할 것으로 예상됨
기준금리는 언제까지 오를까?
미연준 기준금리 인상, 미국 기준금리 인상과 한국 기준금리에 주는 영향,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미국의 기준 금리 인상 *자이언트 스텝 미국의 중앙은행. 연준(연방준비제도)이 미국 현지시간 기준으로 22년 6월 15일에 빅 스텝(0.5%p)을 넘어 자이언트 스텝(0.75%p)을 밟았다. 이로써 미국의 기준
washere.tistory.com
기준금리는 현재 15년간 최고 수준
▲ 그동안 파월 의장 발언 전에는 기준금리가 4.75~5%를 찍고 내려오게 될 것이라 예상했다. 지금과 같은 기조라면 원래는 내년 1분기까지 찍고 금리 하락을 예상했다.
▲ 지난 2일, 금리 인상 기조는 계속될 것이지만, 금리 인상 속도 조절할 것이라 발표 *누적된 긴축 효과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경제와 금융 변화를 고려하며, 속도 조절 시점은 12월이나 그 후 가능할 수 있음
그러나, 동시에 연준 의장인 제롬 파월이 '더 높게, 더 오래 (기준 금리를) 올리겠다.'는 발표로 투자심리는 급격히 냉각
▲ 즉, 연준의 긴축 정책은 내년 2~3분기까지 이어질 것이며, 기준 금리 상단도 5.25% 이상의 가능성이 제기
▲ 다만, 앞서 언급한 것처럼 금리 인상 속도 조절로 내년 상반기엔 기준금리 0.25%p(베이비 스텝)를 인상할 가능성이 크다.
▲ 만약 물가 상승이 하향세를 보인다면 이와 같은 기조는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음을 시사
***이달 10일에는 미국의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발표된다. 블룸버그 전망치에 따르면 10월 미국의 CPI 상승률은 8.1%로 전달(8.2%)보다 소폭 낮아졌을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 > 경제와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와 네이버의 3분기 실적은 선방. 그러나 문제는 4분기부터 *케이뱅크 3분기 실적 (0) | 2022.11.11 |
---|---|
레고랜드에 이어 흥국생명의 콜옵션 미이행 *한국 채권 시장 신뢰도 하락, 개인 채권 매수는 증가? (2) | 2022.11.08 |
일론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 *트위터 상장 폐지, 트위터 인수 목적은? (1) | 2022.11.06 |
현재는 반도체 침체기. 반도체 수요 감소 원인은 뭘까? (1) | 2022.11.05 |
22년 11월 24일부터 편의점, 카페, 식당, 회사 비닐우산 등 일회용품 사용금지? *종이빨대는 친환경적일까? (1) | 2022.11.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