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55 2023년 출시 예정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가입조건 및 기업 대상은? 개편된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2022년 청년내일채움공제 신규 신청이 중단됐다. 가입 물량이 소진됐기 때문. 하지만 아예 청년내일채움공제가 없어지는 것은 아니고, 2023년 예산안이 확정된 후 다시 사업이 진행된다. 단, 예산이 삭감됐기 때문에 보상안은 전보다 축소됐다. 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조건은? 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는 가입기간 2년과 3년짜리인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로 나뉜다. ▲ 청년내일채움공제와 청년내일채움공제 플러스는 가입기간이 2년과 3년의 차이로 납부 금액과 만기 후 금액의 차이가 있다. ▲ 또한, 가입기간이 2년인 청년내일채움공제는 고용보험 가입이력이 없거나, 최종 학력 졸업 후, 총 가입기간이 12개월 이하인 경우만 가능하다. 그 외.. 2022. 11. 21. 22.11.19.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 비교. 금리 5% 시대. *5대 은행 정기예금 금리는? 앞으로 금리 인상 기조는 어떨까 금리 인상에 따라, 예적금 금리도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5대 은행 정기예금 잔액은 올해 166조 원이나 폭등 이에 사람들은 예적금 가입, 해지를 반복하며 상품을 옮기기도 하고, 예적금 금리보다 낮은 금리로 대출을 받아 고금리 특판 예금에 넣어 단기로 차익을 얻으려는 사람들도 있다. ▲ 전반적인 시장 상황이 좋지 않고, 예적금 금리 상승으로 예적금을 이용한 재테크. 이름하여 예테크를 하는 것 ▲ 다만, 예금 금리가 5%여도 일반 과세를 제하면 실수령 이자율은 약 4.23%인 점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내년까지 미국이 긴축 정책에 따라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한만큼, 금리는 더 오를 가능성이 크다. ▲ 한국 역시 미국의 금리 인상 기조를 따라가기 때문에 22.11.24.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 2022. 11. 20. 대통령실 MBC 대통령 전용기 탑승 불가 통보, 그 이유는? MBC 보도엔 정말 문제가 없었나? 대통령실에서 'MBC는 대통령 전용기 탑승 불가'를 통보했다. ▲ 지난 9월 MBC가 윤석열 대통령이 비속어를 썼다는 보도 이후, 왜곡과 편파, 한미 안보 관계를 해쳤기 때문이라는 이유를 덧붙였다. ▲ 현재 많은 언론단체가 언론자유를 탄압한다는 성명을 냈으나, 윤석열 대통령은 언론의 자유도 중요하지만, 언론의 책임이 민주주의를 떠받치는 기둥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며, 헌법 수호 일환으로 조치를 내렸다고 했다. 이후 대통령실은 'MBC가 악의적인 10가지 이유'를 서면으로 브리핑 ▲ 뉴욕 방문 때 대통령이 하지도 않은 '미국'이란 말을 괄호 안에 넣어 방송한 것, 워싱턴 특파원이 욕설 기정 사실화해 백악관에 입장을 묻고, "한미관계가 끈끈하다'는 답신을 받고도 보도하지 않은 것, 김건희 여사의 대역을.. 2022. 11. 19.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이란? 바이든의 IRA 완화 발언. 한국산 전기차 규제 완화될까?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이란? 물가 상승의 여파로 시민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만든 법이다. 대기업 증세 등을 통해 걷은 7,400억 달러(약 910조 원)를 기후변화 대응, 의료보장 확대 등에 사용한다. 이때 기후 변화 대응 및 에너지 보안 강화에 예산의 86%가 쓰인다. 한국엔 어떤 영향을 줬을까? ▲ 한국에서 만들어 수출한 전기차는 미국 정부의 보조금을 받을 수 없게 된다. 미국 정부는 전기차를 사면 7,500달러를 지원하기로 했는데, 북미에서 조립된 전기차만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전기차 내 배터리 재료가 미국 혹은 미국과 FTA를 맺은 나라에서 나온 재료만 사용해야 한다. ▲ 수출되는 한국의 전기차는 대부분 국내에서 생산된 후 수출되고 있고, 배터리 내 재료도 중국에서 구해오고 있어.. 2022. 11. 17. 대형 중동 건설 프로젝트 '네옴 시티' *22년 11월 17일 사우디아라비아 빈 살만 왕세자 방한 22.11.17.(목)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방한 수능 시험날이기도 한 이번 주 목요일. 사우디 아라비아의 빈 살만 왕세자가 방한을 한다. 방한의 목적은 '네옴 시티' 건설 프로젝트 때문. 1박 2일 일정으로 방문하는데, 왕세자를 비롯한 일행이 서울 중구 소공동에 있는 롯데호텔 서울에 묵는다. 400실을 통째로 예약했고, 빈 살만은 하루 최대 2,200만 원까지 하는 롯데호텔 이그제큐티브 타워(신관) 최상위 객실인 460.8㎡(약 140평) 규모의 로열 스위트룸에 투숙할 예정이다. '네옴 시티'란? 2017년 사우디에서 진행된 FII(미래투자이니셔티브)에서 발표한 프로젝트이며, 최소 700조에서 최대 1,400조 원이 들어갈 수 있는 초대형 저탄소 스마트 시티 건설 사업이다. 무려 서울의 44배 면적에 .. 2022. 11. 16. 이전 1 ··· 127 128 129 130 131 132 133 ··· 2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