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50 전기화학에서 알아야 할 것 : 전기이중층과 임피던스, cyclic voltammetry 원리 정리 요약 전기이중층(inner and outer helmholtz layer)과 확산층 전극이 용액에 담기면, 전극과 용액 사이에서 +와 -가 서로 대전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그리고 이때 전극과 용액 사이에 확산층이 존재한다. 구조는 하단과 같으며, 크게 전기이중층과 확산층으로 나뉜다. 전기이중층은 전극 표면과 일정한 거리를 두며 모인 이온들이 있는 층인 '외부 헬름홀츠 평면(OHP : outer helmholtz layer)'와 전극표면에 모인 이온들이 있는 층인 '내부 헬름홀츠 평면(IHP : inner helmholtz layer)'로 나뉜다. 이 두 개의 평면을 합친 것을 '전기이중층'이라고 표현한다. 이를 넘어서면 이온들이 이동하는 '확산층'이라고 부르며, 확산층쪽으로 갈수록 이온의 농도는 낮아진다. *.. 2023. 2. 12. SM 경영권 분쟁(지분 분쟁) 사건 요약 정리 *하이브 카카오 SM, 경영진과 이수만의 대립 하이브는 어떻게 SM 1대 주주가 된 걸까 1) 2019년. SM 지분 6%를 보유한 3대 주주 KB자산운용이 SM의 지배구조가 지나치게 이수만을 위한 것이니 개선하라고 요구했으나 SM측은 이를 거절 2) 2022년 2월 얼라인파트너스가 이에 대한 문제를 다시 제기 *행동주의 펀드 얼라인파트너스자산운용(얼라인). 얼라인은 투자 대상 기업의 경영 개선을 위해 주주권을 행사하는 투자자 조직이다. △ 제기된 지배구조의 문제는 SM자회사이자 이수만의 회사인 '라이크 기획'이다. 이수만은 2010년 사내 등기이사에서 물러난 뒤에 라이크기획을 세우고 SM과 프로듀싱 계약을 맺었다. 얼라인은 이를 문제 삼았는데, 21년 라이크기획(이수만)이 프로듀싱으로 받은 돈이 240억 원이었다. △ 당시 SM 영업이익은 685억.. 2023. 2. 11. 전월세 계약 만료 전에 이사를 하게 된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 전세 계약 만료 전에 이사를 하는 경우엔 어떻게 할까? 전세 혹은 월세 계약 만료 전에 부득이한 사정으로 이사를 가야 하는 경우들이 있다. 심지어 전세 계약 보증금은 대부분 대출 문제도 껴있어서 신경 쓸 문제가 많아진다. 그래서 만약 전월세 계약 만료 전에 이사를 가게 된다면 어떻게 하는 것이 합리적인지를 살펴보겠다. 전월세 계약 만료 전에는 집주인에게 이를 알려야 한다. 전월세 계약이 원래 계약 기간을 꽉 채워 만료가 되더라도 보통 2~6개월 전에 집주인에게 이를 알려야 하며, 집주인도 별 말이 없고 나도 이 기간을 넘어가면 묵시적 계약 갱신으로 자동으로 재계약이 체결된다. **첫 계약에서는 계약 기간 만료까지 있는 게 원칙이나, 묵시적 계약 연장 혹은 계약갱신권 등을 통한 재계약의 경우엔 언제 재계약.. 2023. 2. 11. 여신강림 작가 야옹이(본명 김나영) 회사 공금으로 슈퍼카 구매 등 탈세 의혹에 휩싸였다. 웹툰 '여신강림' 작가 야옹이(본명 김나영) 탈세 의혹 국세청이 대대적인 세무조사에 착수했다. 연예인, 유튜버, 웹툰작가, 운동선수 등 80명이고, 이들은 회삿돈으로 수 억 원대 슈퍼카를 사거나 친인척 및 직원 명의로 돈을 횡령한 혐의가 잡히고 있다. 구매한 슈퍼카는 개인목적으로 사용하고, 법인 카드로 명품을 구매해 SNS에 과시하는 행동과 더불어 저작물을 법인에 공급할 때 세금계산서를 발행하지 않아 부가세를 탈루한 것. 23년 2월 9일 연합뉴스는 이와 관련된 보도를 하며 인기 웹툰 작가 A 씨 이야기를 했다. 연합뉴스는 앞서 언급한 내용처럼 "인기 웹툰 작가 A씨가 회사 공금으로 수억 원대 슈퍼카를 구매해 개인목적으로 사용하고, 법인 카드로 고가의 사치품을 구매해 SNS에 과시하는 등 호화 사치생활을.. 2023. 2. 10. 이젠 '안전운임제' 아니고 '표준운임제'? 2022년에 화물연대가 정부와 갈등이 있었다. 안전운임제는 마치 최저임금과 같은 제도였는데, 안전운임제가 생겼을 때 찬반이 있어 3년만 운영해 보고 없애는 일몰제로 타협을 해 시행했었다. 그리고 일몰제가 끝나가자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를 유지해 달라는 요청을 했고, 반면 정부는 일몰제였으니 원래 의도로 가야 한다는 입장차이가 있었다. 이에 화물연대는 강경한 파업을 진행해 굵직한 물류 흐름이 막히기도 했다. 당시 나도 물건을 주문하면 물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시간이 더 걸렸었는데, 정부가 운영하지 않으면 처벌할 수 있다며 강경하게 나와 파업을 끝냈었다. 다만, 단순히 정부가 강경하게 나온 것만은 아니고 정부도 검토를 하겠다는 이유도 있었다. 화물연대 파업의 이유. 화물연대 파업 정리 요약 안전운임제 일몰제.. 2023. 2. 10. 이전 1 ··· 109 110 111 112 113 114 115 ··· 2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