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252 26년 입학을 위한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능. 수능 국어, 수학, 영어, 과탐, 사탐 난이도는 어땠나? 25년 11월 13일(목). 26년 입학을 위한 수능이 진행 중이다. 수능 성적은 2025년 12월 5일(금)에 통지될 예정이다. 전체적으로 작년보다는 어려웠다는 평가가 많은데 상위권 변별을 위한 문제들 때문에 체감 난이도가 높았던 모양 📝 전체적인 출제 방향 오늘 오전 수능 출제위원장은 브리핑을 통해 전 과목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춰 적정 난이도의 문항을 고르게 출제했다"라고 밝혔다. '킬러 문항' 배제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공교육 과정만으로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난이도를 조정한 것이 핵심이다. 즉, 작년과 비슷한 기조로 출제하려고 했다는 것이 중론. 수능 1교시 국어 영역 난이도는? EBS 및 현직 교사들의 분석에 따르면 수능 1교시 국어 영역은 작년(25년 입학 수능).. 2025. 11. 13. 뉴진스 어도어 복귀 선언. 다니엘 민지 하니의 미묘한 온도차. 1년간 하이브-뉴진스 타임라인 뉴진스(NewJeans) 어도어 복귀 선언, 1년간의 분쟁 타임라인 25.11.12. K-팝 팬들에게 가장 큰 이슈였던 '뉴진스-민희진-어도어-하이브' 사태가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뉴진스 멤버 전원이 소속사 어도어 복귀를 선언한 것 다만, 현재 멤버 혜린과 혜인은 어도어와의 논의가 된 상태로 복귀가 선언됐지만 나머지 민지, 하니, 다니엘 등 3인은 별도의 법무법인 한일을 통해 복귀 의사를 전달하였다. 어도어는 진의를 파악하겠다고 하였으며 멤버 3인은 어도어의 회신이 늦어서 법인을 통해 입장을 발표했다고 하는데 뭐가 그렇게 급했을지 복귀 선언이 다소 복잡한 상황이 연출됐다. 하이브 - 민희진- 뉴진스 분쟁 타임라인 1. 2024년 4월: 하이브(HYBE) vs 민희진 대표, '경영권 분쟁'.. 2025. 11. 13. 하트시그널 김지영 남자친구 트레바리 대표는 누구? - 하트시그널4 김지영 단발 인스타 직업 나이 남친 *이름 : 김지영 *나이 : 1995년생 (30세) *학력 : 의정부 여고 및 인하공업전문대 항공운학과 전문학사* 직업: 항공사 스튜어디스 (전): 소니코리아 광고 모델 및 청담동 미용실 헤어모델: 2023년 하트시그널 데뷔 당시 건축 인테리어 회사에서 브랜딩을 배운다고 했는데 인턴인지 단순히 공부 중인지에 대한 명확한 설명은 없었는데 그냥 공부하고 있던 프리랜서 모델이었던 것으로 보여짐: 하트시그널4 당시 한겨레와 최종 커플이 됐다가 얼마 안 가 결별을 했었으며 당시에 출연 직전까지 의사 남자친구가 있었던 걸로 보여져 질타를 받기도 했음: 현재는 프리랜서 모델, 유튜버 겸 인플루언서로 활동 중 : 최근 유튜브를 통해 본인이 연애를 하고 있는 사실을 보.. 2025. 11. 12. 부창제과 세븐일레븐 우유니소금 크림치즈 베이글 후기 *부창제과는 정말 오래됐나? APEC 공식협력사 부창제과와 세븐일레븐 협업. 부창제과의 역사는? 부창제과는 1963년 경북 경주에서 시작한 작은 빵집으로 이후 1990년까지 30년 가까이 운영한 뒤에 문을 닫은 제과점이다. 이후 2024년 10월 배우 이장우가 푸드콘텐츠기업 FG와 합작하여 프리미엄 호두과자 전문 브랜드로 부활시켰다. 정확하게 말하면 오리지널 부창제과가 아니라 부창제과 60년 헤리티지를 모티브로 한 빵집이다. 하지만 부활이 틀린 것이 아닌 게 FG 이경원 대표는 실제 부창제과 창업주의 외손자로서 부창제과의 부활을 꿈꾸고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2024년 10월 신세계백화점 강남 1호점을 오픈한 뒤에 현재는 서울, 대구, 부산, 수원 등 지속적인 확장 및 협력을 맺고 있으며 이번에 있던 APEC 행사의 공식협찬사로서.. 2025. 11. 12. 11월 11일은 빼빼로데이. 빼빼로데이의 유래는? 기업의 상술이기만 할까? 11월 11일 빼빼로데이의 유래는? 남녀노소 연령불문 모두가 아는 11월 11일은 빼빼로데이다. 서로 빼빼로과자를 주고받으며 사소하지만 기분 좋게 만드는 날이기도 하다. 상술이라고 비판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빼빼로데이의 유래는 뭘까? 빼빼로데이 기원에서 가장 유력한 설은 부산 여고생들이 빼빼로처럼 날씬해지자며 서로 장난으로 빼빼로를 주고받은 데서 시작했다는 것이 가장 유력하다. 여고생들이 장난처럼 주고 받은 문화는 입소문이 퍼지면서 서로 주고받는 경우가 늘었다는데 이를 본 롯데제과는 기회로 삼아 1990년대 후반에 빼빼로 과자 마케팅에 빼빼로데이를 활용하면서 전국에 빼빼로데이가 입소문을 타게 된다.. 과자를 파는 롯데제과의 마케팅에 따라 빼빼로처럼 날씬해지자는 의미는 점점 사라지고 이제는 친구, 가.. 2025. 11. 11. 이전 1 2 3 4 5 6 ··· 2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