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치 사업 철수 결정 *'망 사용료'란 무엇이고, 왜 논란일까?
본문 바로가기
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경제와 사회

트위치 사업 철수 결정 *'망 사용료'란 무엇이고, 왜 논란일까?

by 학식과 구내식당 사이 2023. 12. 12.
반응형

 

 

 '망 접속료'와 '망 사용료'의 차이

 

✅'망 접속료' - 한국의 인터넷망에 접속하기 위해서 내는 비용으로 통행료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용자는 통신사의 망에 접속하는 대가로 요금을 내고. 약정한 대역폭 내에서는 자유롭게 통신이 가능했다.

 

✅'망 사용료' - 인터넷망에 접속하는 접속료와 별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매기는 요금으로 전기요금처럼 사용한 만큼 내는 비용이다.

 

 

 

 문제가 되는 부분은 바로 '망 사용료'

 

✅'망 사용료'의 개념은 한국에만 있다. 해외에서도 접속료만 지불하며 트래픽에 따른 사용료를 지불하지 않는다. 이는 암묵적인 국제 약속인데, 인터넷은 공유자산의 개념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다만, 접속료는 낸다. 즉, 기업은 통신사에게 접속비용만을 지불한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국내 기업과 통신사는 '트래픽에 따른 망 사용료를 지불하라'는 계약을 체결한 상태였다. 따라서 국내 기업은 트래픽 사용량에 따른 망 사용료를 납부하고 있었다.

 

유튜브나 트위치, 넷플릭스 등과 같은 해외 플랫폼이 국내에 처음 들어왔을 때는 별 상관이 없었다. 일단 '망 사용료'를 내라는 글로벌 룰과 완전 정반대인 한국에 굳이 낼 필요가 없어 서버를 해외에 두고 사용했으며, 사용자가 많지도 않아 그냥 그런 상태로 흘러가고 있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영상 콘텐츠 소비가 커지고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해외망을 통해 발생한 트래킹을 국내에서 소모하게 된다.

 

그러자 한국 통신사들은 '국내 기업들도 망 사용료를 내고 있으니, 해외 사업자들도 내라!'라고 주장하며 개정안 입법을 시도한다.

 

과거 이미 넷플릭스법과 트위치 화질 저하 등으로 망 사용료 이슈는 있었다. 그런데 트위치가 아예 사업 철수를 주장하며 다시 한번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이다.

 

 

 

 

 한국 통신사들 입장은 아래와 같다.

 

✅국내 기업들도 이미 내고 있었고, 우리는 케이블 설치 및 망 품질 유지 보수에 비용과 시간이 들어간다.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늘어나니 그 대가로 '망 사용료'를 지불해라

 

이렇게 되면 사업자들은 망 접속료와 사용료까지 이중 부과라며 반발한다.


SK 텔레콤은 이 사안을 두고 넷플릭스와 싸우다가 전략적 협력 관계를 맺게 되고, 트위치는 버티지 못하고 한 차례 화질 저하 조치를 취했다가 완전히 철수한다는 공지를 띄운다. 예정된 철수일은 2024년 2월 27일이다.

트위치 CEO 말에 의하면 국내 망 사용료가 지나치게 부담스럽다는 것이 이유였다.

 

 

 국내 '망 사용료' 10배는 진짜?

 

✔️아래는 아마존웹서비스(AWS)의 대역폭 원가 추정치로 국가별, 계약 조건에 따라 실제 비용과는 상이할 수 있다. 다만, 해당 예상 평균 대역폭 원가로 봤을 때 미국에 대비해 월등하게 높다.

출처 : https://blog.cloudflare.com/aws-egregious-egress/

 

✔️2019년에 왓챠 대표는 국내 망 이용료가 유럽보다 15배 비싸다는 발언을 한 적이 있다.

 

✔️이에 대비해 국내 3사 통신사는 글로벌 CP가 국내 CP보다 계약 조건이 유리하다는 내용이 국정감사를 통해 공개된 적이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기밀인 계약 조건이라 알 수 없다. *CP란 콘텐츠 사업자를 의미한다.

 

✔️또한, 1년 전 다시보기 서비스를 폐지할 때 '네트워크 비용 증가와는 상관없다.'라는 의견을 보였고, 국내 아프리카 TV도 망 사용료를 내지만 영업 이익을 잘 내고 있으니 다른 이유가 있을 것이라는 의견을 내는 사람도 있다.

 

✔️트위치는 아마존이 인수한 기업이다. 트위치가 글로벌로 진출하고 사용자들이 늘어나면, 이후 아마존의 라이브 커머스를 도입해 사용자들이 그 안에서 크리에이터들의 방송을 보고 물건을 사고팔고 등을 할 수가 있다.

 

✔️지금 당장 적자를 본다고 철수할 이유가 없다는 것은 앞으로 사업 비전을 그려볼 때 트위치의 수익 구조는 국내 '망 사용료' 부담으로 원하는 그림을 그리기가 힘들다는 것

 

 

 대중들은 망 사용료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편이다.

 

 일단 국내 통신사 품질이 좋다는 것은 정말 사실이다. 인터넷도 굉장히 빠른 것도 사실. 그러나 과점으로 5G가 제대로 5G가 아니거나, 요금의 중간 요금제가 없거나, 단통법 폐지 등 이유로 대중들이 통신사들을 썩 호감 있게 보는 편은 아니다. 

 

 또한, 국내 스타트업들이 사업을 하려면 결국 통신사들에게 '망 접속료'와 '망 사용료'를 내야 한다. 이것 자체가 사업자들에겐 부담이며, 인기가 많아질수록 망 사용료에 대한 비용 부담은 커진다.

 

 반대로 국내에서 망 사용료 법안이 통과돼 의무화가 되면 국내 기업들이 해외로 진출할 때 거기서도 망 사용료를 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게 늘어난 비용은? 사용자들에게 돌아갈 확률이 매우 크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