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은행권 압박 *취약계층 지원 확대, 횡재세 도입?
본문 바로가기
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경제와 사회

정부. 은행권 압박 *취약계층 지원 확대, 횡재세 도입?

by 학식과 구내식당 사이 2023. 11. 8.
반응형

 

 

 

 정부가 은행권을 압박하고 있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5.50%, 한국의 기준금리는 3.50%다. 한국은 지속적으로 금리를 동결 중이다. 미국 내에서는 금리 인상 기조가 거의 끝난 것 같다는 평이 있는데 한 차례 더 인상할 것이라는 것과 앞으로 동결할 것이라는 의견으로 나뉜다.

 

 확실한 건 굉장히 공격적인 긴축은 하지 않을 것 같다는 점? 물론 시장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이번엔 경기침체와 물가상승이 같이 왔고, (=스태그플레이션) 기준금리도 계속 상승해 서민들의 대출 부담도 굉장히 컸다. 이러면 소비가 위축되고 경제가 어렵다는 말이 나오는데, 한 가지 예외가 있다. 바로 '은행권'

 

 은행이 전통적으로 돈을 버는 방법은 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로 인해 수익을 내는 것이다. 이를 '예대마진'이라고 한다.

 

 고금리가 되면 은행의 대출 금리도 올라간다. 반면, 예금 금리는 그 속도보다 천천히 가거나 찔끔찔끔 올리기 때문에 작년 한국의 5대 은행(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의 작년 이자로 인한 이익은 약 36조 원이었다. 

 

 그리고 이를 본 정부가 의심의 눈초리로 째려보고 있다.

 

 

 

 

 

 정부는 은행권에 대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는다는 지적을 했다.

 

 총선을 앞두고 유독 민생일 챙긴다는 모습을 보이는 것 같은 건 기분 탓일지 모르겠지만, 정부는 한번 더 은행을 압박했다. 돈을 그렇게 많이 벌면서 예적금 금리는 조금만 올리고, 서민을 위한 지원은 줄이고 너희들 배만 불리는 것은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는다는 것

 

 정부는 이에 대해 은행권이 취약계층 지원을 늘리거나, '횡재세'를 내라는 입장이다.

 

 '횡재세'란?

 

✅ 기업이 뜻하지 않게 얻은 이익에 대한 특별 세금을 걷는 걸 의미한다. 다른 말로는 '초과이윤세'라고 한다. 특수한 상황에 따라 기업이 돈을 벌게 되면 정부가 추가 세금을 걷어서 그 돈을 취약 계층을 돕는 데 사용한다. 예를 들면 석유 회사의 경우 전쟁이나 기타 등 상황으로 유가가 상승해 돈을 벌게 되는 경우가 해당된다.

 

영국은 석유 회사에게 이미 횡재세를 부과했었고, 유럽 일부 국가는 금리 인상으로 은행이 덕을 봤으니 횡재세를 내라고 하기도 했다.

 

한국은 아직 도입을 언제부터 하겠다는 건 아니고 적극적으로 도입할 준비를 하겠다는 입장을 취했다.

 

 

 은행권의 반응은?

 

고금리 상황이 지속되면 부채 비율이 올라가기 때문에 은행은 이런 상황에 대비해 자금을 비축한다. 은행이 고금리 상황을 주도하는 것도 아니고 세계경제에 따라 움직인 것인데, 은행권 입장에선 다소 억울할 수 있다.

 

그러나 대출금리에 비해 예적금 금리를 조금 올린 것도 사실이고, 금리를 인하할 때 예적금 금리는 한 번에 훅 내렸던 것도 사실이라 눈초리를 받는 건 어쩔 수 없다.

 

다만, 은행은 이번 상생방안이 아니더라도 매해 사회공헌사업을 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 총선 앞두고(추측) 이런 행동들을 한다고 해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거라고 생각이 들진 않는다.

 

 사실 아주 개인적으로는 정부가 예산을 아끼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그럴거면 국방부와 청와대 이전을 수많은 돈을 들이며 했던 게 맞나 싶은 생각이 들 때가 많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