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B산업은행 필수인력 제외하고 부산 100% 이전 결정. 산은 부산 이전 이유는?
본문 바로가기
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경제와 사회

KDB산업은행 필수인력 제외하고 부산 100% 이전 결정. 산은 부산 이전 이유는?

by 학식과 구내식당 사이 2023. 7. 27.
반응형

 

 

 

 

 KDB산업은행이 부산 100% 이전을 보고했다.

 

 KDB산업은행이 부산 100% 이전을 보고했다. *산업은행은 기업금융 지원을 위해 만들어진 국책은행으로 제1금융권으로 은행법을 적용받는 공공기관이다.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은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이었는데 그동안 소식이 없다가 올봄에 산업은행이 경영협의회를 연 뒤에 공공기관 지정안을 금융위원회에 전달하면서 논의가 시작됐다. 당연히 노동조합은 강하게 반발했으나 정부의 요청이 강했는지 논의는 계속됐다.

 

산업은행 본사 전경

 

 

 

 

 

 산업은행은 외부에 연구용역을 통해 컨설팅을 진행했다.

 

 연구용역사인 삼일PwC는 전 기능과 조직을 부산으로 이전하는 '지역성장 중심형 방식'과 서울에 기능을 병행 배치하는 '금융수요 중심형 방식'을 제안했는데 산업은행은 부산으로 100% 이전하는 '지역성장 중심형'을 채택한 것이다.

 

 이에 따라 산업은행은 전 기능과 조직을 부산으로 이전하는 방안에 대해 금융당국과 국회에 보고한 상태이며, 향후 금융위원회는 대통령실과 여당 등과 함께 이전 관련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지역성장 중심형'은 서울에서 업무 수행이 필수적인 시장안정, 자금조달, 대외협력 등의 부문(여의도 필수인력 약 100여 명)을 제외하고 모든 부서와 기능을 부산으로 100% 이전하는 형태다. 사실상 전 직원이 이전하는 것이다.

 

 KDB산업은행이 부산 이전 계획서 작성을 위해 진행한 용역 결과와 관련한 사내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라 밝혔다, 또한, 여당은 산업은행 부산 이전 방식에 대한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한국산업은행법을 개정하는 작업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산업은행 부산 이전 이유?

 

 두 가지 이유가 있는데, 공공기관 이전으로 인한 지역 발전과 산업은행의 주 업무인 기업금융에 대한 시너지 효과가 클 거라는 기대다.

 

 산업은행의 본사가 부산으로 내려오면 지역 기업에 대한 투자 및 금융지원이 더 원활하게 이뤄져 창업 생태계 활성으로 근본적으로 지역이 발전할 수 있다는 기대감인셈.

 

 그러나 외국계 투자자 및 대다수 금융사 본사가 서울에 있고, 이런 점으로 서울에 본사를 두고 있는 회사가 많아서 오히려 비효율성이 커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필수인력을 여의도에 남긴다고 하더라도 말이다.

 

 또한, 산업은행은 기업금융 업무 외에도 개발도상국 대상으로 대회경제협력기금(EDCF)이란 걸 운영하는데 대사관들은 당연히 서울에 있다. 대사관들이 부산으로 옮길 일은 없으므로 이 EDCF 운영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

 

 이 같은 우려에 대해서도 용역 결과 보고서에는 "주요 금융사와 기업의 서울 집중 상황에서 수도권 정책금융 수요대응에 어려움이 발생할 것”이라면서도 그 기간은 단기적일 것이라 분석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