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마지막 기준금리 상승
미국 연준이 올해 마지막에도 기준금리를 0.5%p. 빅스텝을 올렸다. 미국의 기준금리는 연 4.25~4.5%
▲ 2007년 이후 16년만에 가장 높은 금리이지만, 시장의 충격은 이전에 비해(?) 적은 편이다.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하겠다고 한 상황에 많은 사람들이 이미 빅스텝을 밟을 것이라 예상했기 때문이다.
▲ 시장은 차갑지만, 향후 금리에 대한 불안정성이 어느정도 해소가 됐던 것.
향후 기준금리 기조는?
하지만 파월 의장이 연이어 말한 것처럼 목표로 한 물가상승률이 되지 않으면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계속 이어가겠다고 밝혔다.**파월은 물가상승률이 2%로 내려가기 전까지 금리 인하를 고려하지 않다고 강경한 의견을 얘기했다.
▲ 파월 의장에 이런 발언에 S&P500은 0.61%, 나스닥은 0.76% 하락. 이후 3거래일 연속 하락하여, S&P와 나스닥은 전날 대비 1.11%, 0.97% 하락해 이번 주 장을 마감했다.
▲ 기준금리 인상률을 조절한다고 하더라도 금리 인상 기조를 계속하겠다고 하자 통화 긴축으로 인한 경기 침체가 예상되자 투자가 경직된 것이다.
한국 기준금리는 어떨까?
▲ 통상적으로 기준금리 인상 효과는 1년에서 1년 6개월 이후부터 가시화된다. 따라서 본격적인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여파는 내년부터 나타날 것이라고 금통위원들은 예측하고 있다.
▲ 특히 정기예금 등에 은행으로 쏠린 자산과 금리 인상으로 인한 단기 자금시장(=콜시장)과 대출 부담이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여파로 고용시장도 차가워지고 있는 추세다.
*예대마진 및 대출금리 상승 이유와 콜시장에 대한 얘기는 하단 포스팅 참고
예대마진으로 4대 금융지주 사상 최대 순이익. 기준금리가 인상돼도 예금금리가 찔끔 오르는 이
4대 금융지주인, 신한·국민·하나·우리 금융이 사상 최대 순이익을 얻었다. ※ 4대 금융지주의 3분기 당기순이익은 4조 8,876억 원 ▲ 이는 직전 분기인 2분기보다 11.8%, 전년 동기 대비 18.6% 증가했
washere.tistory.com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효과와 경기침체 여파를 점검하기 위해 한국도 기준금리를 인상하겠지만, 미국과 마찬가지로 인상 속도는 조절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마 내년 1월 금통위 회의에서 베이비 스텝인 0.25%p만 올릴 가능성이 높다.
'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 > 경제와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 보상안 내용, 보상안 정리 *무료 보상 외 카카오 추가 보상안은? 현금 지급과 보상 금액은? (2) | 2023.01.05 |
---|---|
포괄임금제의 문제점은 무엇일까? 포괄임금제는 불법? 노동부의 포괄임금제 개혁 시사 (1) | 2022.12.21 |
'탄소국경세'란 무엇인가? 탄소국경세가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2) | 2022.12.18 |
주 52시간제 폐지, 이제는 주 69시간 제도로 개편?? (0) | 2022.12.15 |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완화. 중국 방역 지침은 어떻게 변할까? (0) | 2022.1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