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63 Page)
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044

스투시 웨이브 다이 비치 쉘 자켓 마룬 M 사이즈 후기 및 사이즈 실측 23년 7~9월에 스투시 웨이브 다이 비치 쉘 자켓이 리스탁됐다. 당시에 아래 룩북을 보고 너무 예쁘다고 생각했는데 약간 워싱된 것 마냥? 그라데이션이 돼있는 색감이 너무 예뻤기 때문 *22년에 발매됐다가 리스탁이 안돼서 리셀가가 최대 70까지 올랐었다고 한다.. 그러다 올해 리스탁되고 가격은 30대로 떨어졌다. 근데 예쁜 건 사람들이 많이 사 가고, 종종 있는 업자들과 넉넉하지 않은 재고 때문에 사는 게 쉽지가 않았다. 가격도 정가가 거의 30 가까이 돼서 선뜻 구매하기는 망설였다. 그러다가 구매 결정하고 리스탁 기다리는데 언제 될지도 모르고, 리스탁되면 또 금방 품절이라고 하길래 그냥 크림에서 샀었다. 스투시 웨이브 다이 비치 쉘 자켓 사이즈 + 실측 사실 사이즈가 가장 고민이었다. 사람마다 체형이 .. 2023. 11. 13.
빈대 Q&A : 빈대 대중교통 택배 괴담 진실과 예방법, 퇴치법, 질병 등 '빈대'는 어떤 곤충? ✅자고 있는 사람과 동물의 피만 먹는 기생 곤충이다. 날개는 없고 1~7mm 크기이며 흡혈하지 않아도 100일은 넘게 살 수 있다. 잘 알려진 것처럼 짐이나 가방 등에 숨어서 잘 옮겨 다닌다. ✅빈대는 원래는 개발도상국의 문제였다. 과거 한국에서도 빈대가 있었지만, 거의 박멸됐었다. *2009년~19년까지 빈대 신고는 약 20여 건으로 서울 4건, 경기도 13건, 대구 2건, 전남 1건이었다. 그러나 최근 미국과 캐나다 등 북미와 유럽 일부 지역에서도 확산되고 있다. 이중 한국도 마찬가지. ✅현재까지 전국 빈대 의심 신고 30여 건으로 서울, 인천, 부천, 대구, 부산, 아산 등 전국에서 빈대 신고가 접수됐다. ✅특히 대학교 기숙사나 고시원, 찜질방 등 사람들이 공용으로 이용하는 .. 2023. 11. 10.
나무가 물을 흡수하는 원리와 겨울에 밑동을 흰색으로 칠하는 이유는? 나무가 물을 흡수하는 원리는? *삼투압, 모세관, 응집력 ✅ '삼투압 현상' - 농도가 다른 두 액체를 놓았을 때, 두 농도를 같게 하기 위해서 낮은 농도에서 높은 농도로 액체가 이동하는 원리를 말한다. 땅속 물의 농도보다 나무속의 농도가 일반적으로 높기 때문에 땅속 물이 나무뿌리를 안으로 이동한다. ✅ '모세관 현상' - 모세관 안에 액체가 바깥에 액체보다 높이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액체와 모세관 사이의 부착력(액체와 모세관 사이의 인력)이 액체 분자들끼리 뭉치는 응집력보다 큰 경우, 모세관 내부 액체는 바깥보다 높아진다. 반대로 응집력이 더 크다면 낮게 내려간다. 예를 들어 물이 담긴 컵에 빨대를 꽂으면 빨대 안에 물은 컵 안에 든 물 높이보다 높아진다. ✅ '응집력' - 뿌리에서 빨.. 2023. 11. 9.
정부. 은행권 압박 *취약계층 지원 확대, 횡재세 도입? 정부가 은행권을 압박하고 있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5.50%, 한국의 기준금리는 3.50%다. 한국은 지속적으로 금리를 동결 중이다. 미국 내에서는 금리 인상 기조가 거의 끝난 것 같다는 평이 있는데 한 차례 더 인상할 것이라는 것과 앞으로 동결할 것이라는 의견으로 나뉜다. 확실한 건 굉장히 공격적인 긴축은 하지 않을 것 같다는 점? 물론 시장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이번엔 경기침체와 물가상승이 같이 왔고, (=스태그플레이션) 기준금리도 계속 상승해 서민들의 대출 부담도 굉장히 컸다. 이러면 소비가 위축되고 경제가 어렵다는 말이 나오는데, 한 가지 예외가 있다. 바로 '은행권' 은행이 전통적으로 돈을 버는 방법은 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로 인해 수익을 내는 것이다. 이를 '예대마진.. 2023. 11. 8.
'멤브레인'이란? 멤브레인의 적용 분야 : '멤브레인 필터'와 '이온교환막' '멤브레인'이란? 멤브레인은 얇은 장벽을 의미한다고 보면 된다. 그리고 멤브레인을 어떤 재료를 쓰고 형태를 만드느냐에 따라서 '멤브레인 필터'나 '이온 교환막'으로 사용될 수 있다. 멤브레인 필터 여과 장치의 일부로 수처리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필터이다. 주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PTFE 등과 같은 폴리머를 사용해 얇은 반투과성 막을 만든다. 이때 만들어진 막의 두께와 기공의 크기에 따라 특정 입자 혹은 물질 등을 통과하거나 차단하게 만들 수 있다. 이 막 크기에 따라 정밀여과, 한외여과 등으로 불린다. ✔️적용 분야 멤브레인 필터는 주로 불순물을 걸러내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정수기나 공기청정기 안에 들어있다. 이외 적용되는 분야는 다음과 같다. ✅의료, 제약 및 생명공학 - 각종 약물 용액을 멸.. 2023. 1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