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잡학다식' 카테고리의 글 목록 (61 Page)
본문 바로가기

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잡학다식331

맥런치 시간, 메뉴, 가격 정리 / 맥도날드 해피밀 가격 메뉴, 맥날 해피밀 종종 맥모닝을 먹고,(맥카페 최고) 맥런치 이용도 하는데 가격 얼마였더라 하고 생각하던 참에 정리하는 글이다. 맥모닝, 맥런치, 해피스낵 적용 시간 *맥모닝 시간 - 새벽 4시 ~ 오전 10시 30분 *맥런치 시간 - 오전 10시 30분 ~ 오후 2시 *해피스낵 - 계속 맥도날드 해피스낵 메뉴 및 가격 해피스낵 메뉴 및 가격 - 소시지 스낵랩 2,400원 - 맥치킨 2,900원 - 필레 오 피쉬 2,500원 - 골든 모짜렐라 치즈스틱 1,500원 - 오레오 맥플러리 1,900원 - 아메리카노(H/I) 2,400원 - 바닐라 쉐이크 2,000원 맥런치 메뉴 및 가격 맥런치 메뉴 및 가격 *세트 가격 - 아라비아따 리코타 치킨 버거 6,900원 - 더블 빅맥 7,400원 - 1955 버거 6,200원 - 빅.. 2022. 4. 13.
키보드 자음모음 분리 현상_ㅋㅣㅂㅗㄷㅡ ㅈㅏㅇㅡㅁㅁㅗㅇㅡㅁ ㅋㅣㅂㅗㄷㅡ ㅈㅏㅇㅡㅁㅁㅗㅇㅡㅁ (키보드 자음 모음 분리 문제 발생) 키보드 치다 보면 내가 뭘 눌렀길래 이러나 싶을 때가 있다. 간혹 그렇게 자음 모음이 분리돼서 타이핑되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윈도우+H'를 눌렀을 때 음성인식 기능이 활성화됐을 때 나타난다. *음성인식 기능은 한국에선 제공되지 않아 자음과 모음이 분리되는 오류가 발생함. 키보드 자음 모음 분리 해결법 1) 윈도우키와 마침표(.)를 같이 눌러준다. 2) 그러면 아래와 같이 이모지 창이 나올 것이다. 이때 아무 이모지를 눌러 없애거나, 화면 아무 데나 클릭해 이모지 창을 닫은 후 타자를 하면 정상적으로 타이핑이 된다. 그럼에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바탕화면 오른쪽 하단에 작업표시줄에서 언어입력기를 클릭한 뒤 입력방식을 'Microso.. 2022. 3. 23.
헨리 중국 논란 정리, 헨리 논란, 헨리 국적 헨리의 중국 지지 논란 1. 하나의 중국 지지 논란 2018년 남중국해 영토분쟁에서 중국의 입장을 대변하는 하나의 중국을 지지하는 글이 "유헌화(헨리)공작실" 웨이보 계정에 올라왔고, 헨리 본인 공식 계정으로도 이 글에 대해 좋아요를 누름. *공작실은 중국 연예계에만 존재하는 특수한 시스템으로, 이미 소속사가 존재하는 한국 연예인들도 중국에서 활동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만들어야 하는 중국인 스텝으로 구성된 회사를 말한다. 2. 궈칭제 축하 논란 2021년 10월 1일에 중국의 건국을 기념하는 국경절인 궈칭제 콘서트에 참여하였는데, 중국 공항에 "나는 중국을 사랑한다"는 글이 적힌 중국 오성홍기를 본뜬 듯한 마스크를 착용하고 # 콘서트 이후 본인의 웨이보 계정에 "山河锦绣,盛世中华,祝新中国生日快乐(산하 금수.. 2022. 3. 20.
마세카솔 후시딘 차이, 후시딘과 마데카솔의 차이는? 보통 집에는 하나씩 있는 반창고와 마데카솔, 혹은 후시딘.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이 두 가지는 동일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 의약품인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다. 두 가지를 너무 유사한 성격으로 광고를 한 탓인데, 두 제품은 다른 효과를 가지고 있다. 후시딘 후시딘의 주 성분은 '퓨시드산(fusidic acid)'로서 여기서 이름을 딴 것이 아닌가 싶다. 이 성분은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보통 상처가 나면 1차로 기본적인 소독을 한 후에 세균 번식, 2차 감염을 막고자 후시딘을 사용한다. 후시딘은 딱쟁이가 생기고 난 후에도 발라도 효과가 있는데, 침투성이 상당히 좋기 때문이다. 마데카솔 마데카솔의 주성분은 '센텔라 아시아티카'라는 식물에서 얻은 성분을 이용한다. 주로 물질에는 Asiati.. 2022. 3. 7.
커피 이야기 (3) 녹차 말차 차이, 말차와 녹차의 차이는 뭘까 녹차와 말차의 차이는? 결론적으로 품종이 다른 것은 아니고, 같은 차나무를 어떤 방식으로 재배하고 가공했느냐에 따라 녹차와 말차로 나뉜다. 차나무의 종류는 대표적으로 영국 홍차의 원산지로 주로 알려진 아사미카(assamica)와 그 외 캄보디아의 캄보디엔시스(cambodiensis)가 있으며, 우리나라와 중국에서 흔히 재배되는 차나무인 Camellia sinensis가 있다. 신기한 것은 녹차와 말차만 가공방식에 따라 나뉘는 게 아니라, 홍차, 백차, 황차, 우롱차나 보이차 등도 다른 잎을 쓴 게 아닌 치즈처럼 발효, 가공방식에 따라 나뉜 것이다. 발효차는 카테킨이라는 성분을 산화시키는 것인데, 카테킨은 떫은맛을 내므로 발효 방식에 따라 맛과 향 등이 달라진다. 발효는 강발효, 약발효, 불발효(발효를 하.. 2022. 3.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