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럼피스킨병'이란?
'럼피스킨병'이란 소와 물소에게만 감염되는 바이러스성 질병이다. 소의 전신에 지름 약 2~5cm의 혹이 발생하며, 소가 마르고, 유량이 감소하며 가죽이 손상되거나 불임, 고열, 침흘림과 같은 분비물 증가등을 유발하는 병이다.
'럼피(Lumpy)'는 혹이라는 뜻으로 '럼피스킨(Lumpy skin)'이라는 이름은 피부에 혹이 생긴다는 뜻이다.
1929년 잠비아에서 처음 발견돼 1940년대에 남아프리카에서도 발견됐다. 그 후 1989년 이스라엘, 2013년 유럽과 아시아, 2019년 방글라데시, 2022년 파키스탄, 인도, 2023년엔 네팔에서 유행을 하였고 2023년 10월엔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확진 사례가 보고됐다. *아프리카돼지열병과 확산 경로가 거의 흡사하다.
럼피스킨병의 감염 경로는 주로 모기와 같은 흡혈 곤충,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이나 사료, 오염된 주사기 사용 등에 의해 감염되는 병이다. 럼피스킨병의 폐사율은 10% 이하이지만, 전염력이 매우 강해서 국내에서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있다.
확산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축사마다 청결하게 농장 환경 관리를 해야 럼피스킨병을 예방할 수 있다.
'럼피스킨병' 대한민국 확산 상황
2023년 10월 발생
20일 ▲충남 서산시 부석면 한우 농장 최초 감염 사례 발생
21일 ▲충남 당진시 신평면 한우 농장 감염 사례 발생 ▲경기도 평택시 청북음 젖소 농장 감염 사례 발생 ▲충남 서산시 부석면 젖소 농장 감염 사례 발생
22일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젖소 농장 감염 사례 발생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젖소 농장 감염 사례 발생 ▲충남 태안군 이원면 한우 농장 감염 사례 발생 ▲충남 서산시 부석면 한우 농장 감염 사례 발생
*농림축산식품부는 인천, 경기, 충남 지역에 대해 2023. 10. 22. 14:00부터 2023. 10. 24. 14:00까지(48시간) 일시이동중지명령
'럼피스킨병'은 참고로 백신이 이미 개발되어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럼피스킨병' 백신 54 만두분을 확보한 상태다.
'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 > 경제와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포시가 서울 편입을 추진하는 이유는? *김포 서울 편입 이유, 국민의힘, 시민들 반응 정리 **김포 서울 통근 85%는 근거가 없다. (0) | 2023.10.31 |
---|---|
카카오 SM 주가조작 의혹으로 구속 수사 실시 *상황 정리와 카카오 주가 전망 (0) | 2023.10.23 |
현대 자동차 중고차 사업 진출 발표. 24일 출시. 현대 '인증 중고차' 시스템 도입 (0) | 2023.10.21 |
심평원 인공눈물 건강보험 비급여 적용(2) 히알루론산나트륨 대체재는? (0) | 2023.10.18 |
심평원 인공눈물 건강보험 미적용 검토(1). *인공눈물 4만 원이 된다? (0) | 2023.10.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