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46 박수홍 친형의 횡령 혐의 *2021년부터 현재까지 상황. 재판 현황은? 박수홍 친형 박진홍 횡령 의혹 사건 정리 박수홍의 친형 박진홍이 박수홍의 출연료를 지급하지 않고 100억 원 이상의 자산을 빼돌린 횡령 의혹 사건 *고소 청구액만 116억 원. 박수홍의 활동기간 30여 년 중 20여 년은 객관적 입증이 불가하여 10년의 금액만 따졌을 때 116억 원이다. 박진홍은 박수홍의 매니지먼트를 책임지고, 그의 아내는 가정주부다. 검찰이 수사 결과, 형수 부동산만 200억 원대. 박수홍의 수익이 없으면 박진홍도 수익이 없는 셈이라, 실제 횡령 금액은 수백억 원에 달할 것이 유력한 상황이다. 2021년 박수홍이 결혼을 못 한 사유가 박수홍의 친형 박진홍과 그의 아내(형수) 때문이라는 증언이 나옴 박진홍은 박수홍의 매니지먼트를 맡겼는데, 박수홍이 벌어온 돈을 모으는 게 아니라 본인과 .. 2023. 10. 15. AWS : EC2란? 개념 원리와 AWS EC2, 구글 GCP 차이는? 'AWS(Amazon Web Service)'를 사용 방법 AWS를 사용하려면 계정부터 만들어야 한다. AWS는 계정을 생성하는 12개월 프리티어를 제공해 준다, 'AWS 프리티어'란? 고객에게 서비스별로 지정된 한도 내에서 무료로 AWS 서비스를 제공하는 걸 말한다. 즉, AWS 계정을 생성하면, 본인에게 맞는 프리티어와 함께 기본 플랜을 선택해 시작하면 된다. 'AWS : Amazon EC2(Elastic Compute Cloud)'란? 아마존이 제공하는 대표적인 AWS의 서비스가 AWS EC2이다. EC2를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PC방 등과 같은 곳에서 컴퓨터 1대를 일정 시간 동안 이용하는 대가로 돈을 지불한다, PC방은 그 시간만큼 컴퓨터를 대여해 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AWS에 EC2도 마찬.. 2023. 10. 14. 비만 치료제 대표 주자 : 노보 노디스크의 위고비, 삭센다, 오젬픽 효과와 가격 부작용 등은? '위고비' 성능과 효과, 가격과 부작용은? '위고비(세마 글루타이드)'는 덴마크의 제약회사인 '노보 노디스크제약'에서 만든 비만 치료 주사이다. 원래는 당뇨 치료제로 나왔는데 연구 도중 체중 감소 효과도 발견돼 비만 치료제로도 인정을 받았다. 위고비가 갑자기 더 유명해진 건 작년 테슬라 CEO인 일론 머스크가 당시 트위터(현 X)에 다이어트 비결이라면서 위고비를 올렸기 때문이다. 이후 유명 스타들도 위고비를 쓴다는 게 알려지며 인기를 끌었다. 미국 내 위고비(Wegovy) 가격은 한달에 약 1,350달러지만, 유럽에서는 약 190~300달러 수준에 판매되고 있다. 위고비는 출시 2년만에 매출이 2조 원을 넘었고, 위고비 덕분에 덴마크 GDP(국내총생산)가 늘어날 전망이라고 하니 엄청난 경제 효과를 가져다.. 2023. 10. 13. 나는 솔로 16기 끝없는 잡음. 영숙 옥순 카톡 비방 주작 정리 나는솔로 16기 영숙, 옥순 프로필 16기 영숙 16기 영숙은 무용학과로 발레를 전공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현재 문화체육관광부 소속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중고등 무용 강사로 일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16기 영숙의 정확한 이혼 사유는 알 수 없으나, 만난 지 한 달 만에 아이가 생겨 미혼모 시설을 알아보다가 결혼을 했지만 1~2년 만에 이혼한 것으로 밝혀졌다. ✔나이 : 32살(1990년) ✔직업 : 중고등부 무용강사 ✔인스타그램 : @rina_rina_baek 영숙은 나는솔로 16기 방송에서도 여러 구설수에 오르고 말다툼을 벌이는 모습이 많아 여러 비판을 넘어 비난을 받았었다. 16기 옥순 전 남편과 3번째 본 날 결혼식을 올렸다고 하며, 직업은 서양화가로 나는솔로16기 출연 당시에도 포르쉐를 끄.. 2023. 10. 13. 교육부 2028학년도 대입제도 개편 시안 발표 내용 정리 *내신 5등급제, 수능 공통과목 수능 내신 제도를 바꾸려는 이유 - 수능 제도 문제 현재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는 영어, 한국사는 같은 문제를 풀고, 국어, 수학은 '공통+선택', 사회탐구, 과학탐구는 2과목을 선택해서 치른다. 이렇게 선택할 수 있는 과목을 준 이유는 수험생이 진로와 적성에 맞는 과목을 골라서 공부하자는 취지였다. 그러나 취지와 다르게 점수가 잘 나오는 과목을 고르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이 점은 엄청 놀라운 이슈는 아닌데 n년 전에도 사회탐구나 과학탐구 영역에서 수험생들은 언제나 점수가 잘 나오는 과목을 선택해 왔다. 그게 때로는 본인에 맞는 적성이기도 했고 말이다. - 내신 제도 문제 고등학교 내신은 9등급까지 나눠진 상대평가제이다. 상위 4%만 1등급을 받을 수 있다. 여기에 문재인 정부에서 2025년 고등학교 1학.. 2023. 10. 13. 이전 1 ··· 66 67 68 69 70 71 72 ··· 2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