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 공학 이야기/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카테고리의 글 목록 (7 Page)
본문 바로가기

과학과 공학 이야기/반도체와 디스플레이38

퀀텀닷(Quantum dot:양자점), QLED의 원리와 정의 간단 리뷰 QLED란 무엇일까? OLED와의 차이는? OLED는 유기물소자(발광물질)가 전류를 가했을 때 이에 반응해 빛을 내는 반응을 이용한 것이다. 이때 빛의 3원색인 RGB에 따라 사용되는 발광물질이 달라진다. 그렇다면 QLED는 뭘까. QLED에서 쓰이는 퀀텀닷(Quantum dot:양자점)은 수 나노미터(nm)의 반도체 결정이다. 퀀텀닷은 같은 물질이라도 입자의 크기에 따라 발현되는 색깔이 다르며, 이는 OLED와 흡사한 원리를 가졌다. OLED의 원리와 정의 간단 리뷰 OLED의 원리와 정의 간단 리뷰 OLED :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우선 OLED는 전류를 가했을 때 이에 반응해 빛을 내는 발광물질(유기 화합물)을 이용하며, 발광물질로 이루어진 '발광.. 2020. 12. 4.
OLED의 원리와 정의 간단 리뷰 OLED :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는 전류를 가했을 때 이에 반응해 빛을 내는 발광물질(유기 화합물)을 이용하며, 발광물질로 이루어진 '발광층(EML : emission material layer)’이라는 곳에서 빛을 내는 것이 원리다.  OLED의 구조는 nm단위 두께의 얇은 유기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유기 화합물에 따라 특성이 조금씩 다르며, 이 친구들이 좀 더 조화롭고 효율적이게 만들기 위해선 전기 광학적 특성을 가진 물질들을 조합해 효율이 높은 소자를 제작해야 한다. 이 때문에 여러 다층(multi layer)으로 구성이 돼있다. 양극과 음극이 전극을 구성되며, 직류 전원을 인가하면 양극으로는 정공이, 음극으로는 전자가 주입된다... 2020. 10. 18.
반도체의 8대 공정 요약 정리 > 다이오드 : 전류 흐름에 대한 "밸브"> 트랜지스터 : 전기 신호를 증폭시키는 "스위치"> 커패시터(콘덴서) : 전기를 저장하거나 흘려주는 "임시 창고" ​반도체 공정 전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간단 원리 반도체 공정 전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간단 원리반도체는 말 그대로 전도체와 부도체의 중간으로서 전기가 통하기도 하고 안 통하기도 한다. 이 반도체에 다양한 회로를 그리고 연결하면 빛, 전기, 디지털 데이터로 전환하거나 저장, 기억, 연washere.tistory.com  이걸 매우 작게 만들어 하나의 전자회로로 실리콘 웨이퍼 위에 구성한 것이 반도체칩이다.  이를 위한 대표적인 8대 공정을 살펴보자.(하나에 반도체를 생산하기 위해선 800개 이상에 공정을 거친다고 한다. 이를 크.. 2020. 10. 10.
반도체 공정 전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간단 원리 반도체는 말 그대로 전도체와 부도체의 중간으로서 전기가 통하기도 하고 안 통하기도 한다. 이 반도체에 다양한 회로를 그리고 연결하면 빛, 전기, 디지털 데이터로 전환하거나 저장, 기억, 연산, 제어 등에 뇌 역할을 하게 된다. (메모리 or 비메모리 반도체)  반도체 공정을 곧 써볼 것 같긴 한데 그전에 알면 좋은 3가지를 정의해보면 아래와 같다.​1. 다이오드 :  전류 흐름에 대한 '밸브'라고 보면 되겠다.   간단히 말해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시키면 다이오드가 된다. p형엔 정공이 많고, n형엔 전자가 많다. 이때 n형은 잉여 자유전자가 하나 남는다. 이 자유전자는 p형으로 확산한다. n형은 전자 하나를 잃으므로 양이온, p형은 전자 하나를 얻었으므로 음이온이 생긴다. 이때 두 이온의 수.. 2020. 10. 10.
P형, N형 반도체와 에너지 밴드갭, 페르미 준위 에너지 밴드갭을 이해하려면 간단한 정의를 알고 들어가야 한다. 에너지 준위 : 원자핵 주위를 회전하는 전자가 가질 수 있는 에너지 수준인데 이는 각 물질마다 조금씩 다르다. 파울리의 배타 원리 : 동일한 원자 내에 있는 2개의 전자는 동일한 순간에 동일한 상태에 있을 수 없다는 원리다. 이 두 가지 정의를 조합해보면, 원자들을 모아서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하면 전자의 수만큼 에너지가 분리된다. 나눠진 에너지는 띠를 형성하는 데, 이를 '에너지 밴드'라고 한다. 그리고 원자 간 거리가 특정 거리 이내가 되면 전자가 존재할 수 없는 간격이 생긴다. 이것을 '에너지 밴드갭'이라고 한다. 반도체의 기초가 되는 실리콘의 경우, 3s, 3p 궤도의 에너지 밴드가 겹치면, 최외곽 전자가 바글바글한 '가전자대(valen.. 2020. 9.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