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금융, 절약 상품 및 정부 지원금 안내' 카테고리의 글 목록 (18 Page)
본문 바로가기

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금융, 절약 상품 및 정부 지원금 안내119

정기예금 추천. 22년 7월 11일 출시 예정. 케이뱅크 3% 예금상품 *선착순 판매 22년 7월 11일 케이뱅크 100일 만기 예금상품 출시 예정 - 22.07.11.(월). 오전 10시부터 코드K 정기예금 선착순 특별판매 - 만 17세 이상 누구나 가능 - 최대 가입 금액 제한없음 *예금자보호한도 5천 만원까지 - 만기일 100일 - 금리 최고 3% - 선착순 특별판매 - 1천만 원 예금 이체 시 세후 이자 약 69,533원 신청방법 - 케이뱅크 수시입출금 계좌 개설 필수 *이미 소유한 경우는 상관없음. - 수시입출금 계좌는 케이뱅크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계좌 개설 가능 - 이후 케이뱅크 예적금 계좌 개설 가능 - 다음 주 선착순 판매 시 가입하면 끝. 아무래도 하반기 상장을 앞두고 있어, 규모를 키우기 위해 짧고 굵은 예금 상품을 내놓은 것 같다. 이전에 파킹통장 금리를 보면, 웰컴.. 2022. 7. 10.
아프면 쉴 수 있는 상병수당 신청방법과 상병수당 신청 대상자 상병수당제도 시범 사업 시작 *단, 시범 지역이 정해져 있음. '상병수당'이란? - 근로자가 업무 외에 질병 혹은 부상으로 경제활동이 불가한 경우, 치료에 집중할 수 있도록 소득을 보장하는 제도다. 즉, 몸이 아파도 돈 벌려고 일을 하는 사람이 많았는데, 좀 더 편하게 치료에 전념하라는 것. *'국민건강보험법'에 부가급여로 상병수당 명시가 가능 '상병수당제도' 사업기간 - 22년 7월 4일 ~ 23년 6월 30일까지 (1년) 상병수당 지원자격 기본 자격 - 거주지가 주민등록등본 기준 시범사업지역이어야 함. *시범사업지역(서울 종로구, 경기 부천시, 충남 천안시, 전남 순천시, 경북 포항시, 경남 창원시) *다만, 건보공단 지사에서 지정한 협력사업장 근로자의 경우, 시범사업 지역에 거주하지 않더라도 나머지.. 2022. 7. 8.
올해 하반기 IPO 대어. 쏘카, 현대오일뱅크, 케이뱅크 공모 예정 올해 하반기 IPO 대어. 쏘카, 현대오일뱅크, 케이뱅크 출격 상반기에 시장 어려움이 겹치고, 예상보다 낮은 공모로 원스토어, 현대엔지니어링 등이 IPO를 철회하고 연기를 하였다. 이후 물가 상승 및 금리 상승으로 돈을 투자하지 않고, 은행으로 몰리고 있다. 이와중 하반기 IPO는 여러 사람들의 관심을 모으는 중이다. 2022.07.04 - [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금융, 절약 상품 및 정부 지원금 안내] - 은행 예적금 4% 출시 예정? 주담대 금리 인하. 예대마진 뜻, 은행의 지나친 예대마진, 신한은행 주담대 2022.07.04 - [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금융, 절약 상품 및 정부 지원금 안내] - 22.07.02. 기준. 파킹통장 금리 비교 쏘카 IPO 보통 여름에는 공모주가 비수기인 경우.. 2022. 7. 6.
22.07.01.부터 적용되는 토스뱅크 에피소드3 혜택 정리, 토스뱅크 에피소드3 혜택 비교 22.06월까지였던 에피소드2가 끝나고, 7월부터는 에피소드3 혜택이 적용된다. 토스뱅크는 출범 이후 약 6개월가량씩 시즌을 바꾸며, 캐시백 혜택을 강화하거나, 조건을 바꾸며 쭉 고객 유치를 하고 있는 중이다. 22.06월까지였던 에피소드2가 끝나고, 7월부터는 에피소드3 혜택이 적용된다. - 에피소드3 캐시백 혜택에 대해서는 기존 영역에서 2가지 영역이 추가됐고, 이전과 마찬가지로 전월 실적은 없다. - 개인적으로 제일 중요한 대중교통 캐시백 혜택은 기존과 동일하다. 다만, 혜택이 강화됐다는 말과 달리 오히려 소액 결제에 대한 혜택은 줄어들었다. - 기존에 경우 금액과 상관없이(*편의점에 경우 3천 원 이상) 1건 결제에 대해 3백 원 캐시백 혜택이었으나, 1만 원 미만 결제 건에 대해서는 100원 캐.. 2022. 7. 5.
은행 예적금 4% 출시 예정? 주담대 금리 인하. 예대마진 뜻, 은행의 지나친 예대마진, 신한은행 주담대 '예대마진'이란? 은행엔 크게 두 가지 금리가 있다. - 대출금리 돈을 대출해주는 대신, 원금 + 이자(대출금리)를 받는 것. 빌리는 돈이 많을수록 은행은 리스크가 커지기 때문에, 보통 많이 빌릴수록 이자가 높고, 돈 떼이면 안 되니까 신용등급이 높은 사람들에게 대출을 해준다. - 예금금리 사람들이 은행에 돈을 예치해둔다. 그 대가로 돈을 예치해준 사람들에게 이자를 지불한다. 이게 '예금금리'다. 은행은 돈이 무한하지 않다. 이 때문에 더 많은 대출을 해주려면, 그만큼 많은 돈이 필요하다. 그래서 고객들을 모집해 돈을 예치를 받는 것이다. 그리고 '예금금리' - '대출금리'의 차이로 은행은 마진을 남긴다. 이게 은행의 전통적인 수익 모델이며. 이를 '예대마진'이라고 한다.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은.. 2022. 7.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