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의 차이
유통기한은 제품의 제조일부터 소비자에게 유통과 판매가 허용되는 기한을 말한다. 즉, 물건을 만든 직후부터 언제까지 소비자에게 유통이 되고 판매가 가능한 기한인 것이다.
반면, 소비기한은 소비자가 제품을 섭취했을 때 안전에 이상이 없는 기한을 의미한다. 소비기한은 보통 유통기한보다 약 20%에서 최대 50%까지 길다.
우리는 흔히 유통기한이 지나면 먹으면 안 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소비기한까지 먹을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대부분 유통기한이 표기되었는데, 이는 서서히 소비기한으로 교체될 예정이다.
특히 유탕면(라면)의 경우 일반적인 유통기한이 지난 후 최장 100일가량 더 섭취해도 문제가 없다는 결과가 발표됐다.
'유탕면'이란? 면의 종류는 4개로 나뉜다.
생면
곡분 혹은 전분을 주원료로 하며 표면만 건조시킨 면이다. 이중 수분이 15% 이상인 제품을 생면으로 봐도 무방하다.
숙면
생면과 마찬가지 원료를 쓰나, 면을 만드는 과정에서 익히거나, 만든 후이 익힌 제품을 숙면이라고 한다. 우동면이 대표적인 숙면에 속한다.
건면
생면이나 숙면을 건조한 거스로 수분 15% 이하의 면이다.
유탕면
생면, 숙면, 건면을 유탕처리한 면을 말한다. 유탕. 즉, 기름에 한번 튀겼다는 것인데 시중에 있는 면은 유탕면이 압도적으로 높다. 이유는 라면 때문이다.
유탕면으로 만드는 이유는 유탕 처리가 라면의 맛을 높이고, 끓였을 때 면의 느낌을 살릴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유통기한이 늘어난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조금이나마 건강한 맛을 챙기려는 사람들이 늘어나서 건면으로 된 라면 제품도 많이 판매되고 있다.
식약처는 유탕면(라면)을 포함한 120개 식품의 소비기한을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유탕면 8개 품목의 경우, 유통기한이 92~183일인 데 비해 소비기한은 104~291일로, 라면류는 유통기한이 지나도 최장 100일까지는 먹어도 안전한 셈이다.
이밖에 ▲조림류 7종의 유통기한 3~14일, 소비기한 4~21일 ▲소시지 19개 품목은 유통기한 13~90일, 소비기한 14~180일 ▲어육소시지 2종 유통기한 90일, 소비기한 112~180일 ▲양념육 5종 유통기한 4~10일, 소비기한 4~13일 등으로 정해졌다.
붙임1 | 식품유형별 소비기한 참고값 설정실험 결과 |
□ 이번에 추가된 소비기한 참고값(39개 식품유형, 120개 품목)
(가나다 順)
식품유형 | 품목 수 | 유통기한 | 소비기한 참고값 |
가공두부 | 2 | 30~75일 | 48~121일 |
가공유 | 3 | 17~90일 | 26~180일 |
과·채음료 | 2 | 90~183일 | 160~366일 |
과자 | 2 | 30~153일 | 54~278일 |
과·채가공품* | 6 | 7일 | 7~10일 |
기타 수산물가공품* | 3 | 30일 | 46일 |
김치 | 15 | 30~60일 | 31~106일 |
김칫속 | 1 | 60일 | 62일 |
농후발효유 | 5 | 20~24일 | 22~30일 |
두류가공품* | 3 | 14일 | 19일 |
두부 | 1 | 25일 | 38일 |
떡류 | 1 | 61일 | 98일 |
만두피 | 1 | 60일 | 97일 |
묵류 | 3 | 85~183일 | 95~303일 |
발효소시지* | 1 | 183일 | 210일 |
발효유 | 1 | 19일 | 29일 |
베이컨류 | 1 | 25일 | 28일 |
빵류 | 3 | 5~90일 | 5~174일 |
생면 | 2 | 61~90일 | 90~98일 |
생햄* | 4 | 60~122일 | 69~140일 |
소시지 | 10 | 25~90일 | 34~180일 |
숙면 | 2 | 68~90일 | 104~138일 |
식육함유가공품* | 5 | 3~5일 | 4~6일 |
알가열제품 | 1 | 30일 | 35일 |
액상차* | 1 | 7일 | 8일 |
양념육* | 5 | 4~10일 | 4~13일 |
어육소시지* | 2 | 90일 | 112~180일 |
유바* | 2 | 90~150일 | 174~273일 |
유산균음료 | 2 | 152일 | 188일 |
유탕면* | 8 | 92~183일 | 104~291일 |
자연치즈* | 2 | 30일 | 34~46일 |
절임식품* | 5 | 3~10일 | 5~13일 |
조림류* | 7 | 3~14일 | 4~21일 |
조미김* | 1 | 183일 | 207일 |
천연향신료* | 2 | 31일 | 31~42일 |
초콜릿가공품 | 1 | 183일 | 296일 |
프레스햄 | 2 | 30~35일 | 40~46일 |
햄 | 1 | 50일 | 57일 |
혼합소시지* | 1 | 183일 | 355일 |
□ 소비기한 설정 총괄결과(2023년 8월 2일 기준→51개 식품유형 550개 품목)
식품유형 | 품목 수 | 유통기한 | 소비기한 참고값 |
가공두부 | 6 | 7~75일 | 8~121일 |
가공유 | 7 | 15~90일 | 23~180일 |
간편조리세트 | 50 | 6~10일 | 6~12일 |
과·채가공품* | 6 | 7일 | 7~10일 |
과자 | 3 | 30~153일 | 54~278일 |
과채음료 | 11 | 3일(72시간)~183일 | 3일~366일 |
과채주스 | 1 | 20일 | 35일 |
기타 수산물가공품* | 3 | 30일 | 46일 |
기타어육가공품 | 1 | 60일 | 92일 |
김치 | 16 | 30~60일 | 31~106 |
김칫속 | 5 | 7~60일 | 9~62일 |
농후발효유 | 25 | 10~30일 | 10~32일 |
두류가공품* | 3 | 14일 | 19일 |
두부 | 21 | 5~31일 | 5~38일 |
떡류 | 34 | 24시간~61일 | 28시간~98일 |
만두 | 2 | 7일 | 9~11일 |
만두피 | 2 | 15~60일 | 16~97일 |
묵류 | 19 | 9~183일 | 9~303일 |
발효소시지* | 1 | 183일 | 210일 |
발효유 | 17 | 14~31일 | 18~55일 |
베이컨류 | 5 | 14~25일 | 16~33일 |
빵류 | 48 | 3~90일 | 3~174일 |
생면 | 17 | 10~90일 | 10~98일 |
생햄* | 4 | 60~122일 | 69~140일 |
소시지 | 19 | 13~90일 | 14~180일 |
숙면 | 3 | 60~90일 | 92~138일 |
식육함유가공품* | 5 | 3~5일 | 4~6일 |
신선편의식품 | 40 | 4~8일 | 4~10일 |
알가열제품 | 2 | 15~30일 | 15~35일 |
액상차* | 1 | 7일 | 8일 |
양념육* | 5 | 4~10일 | 4~13일 |
어묵 | 8 | 9~40일 | 10~61일 |
어육소시지* | 2 | 90일 | 112~180일 |
영・유아용 이유식 | 38 | 5~30일 | 5~46일 |
유바* | 2 | 90~150일 | 174~273일 |
유산균음료 | 7 | 17~152일 | 23~188일 |
유탕면* | 8 | 92~183일 | 104~291일 |
자연치즈* | 2 | 30일 | 34~46일 |
전란액 | 1 | 3일 | 3일 |
절임식품* | 5 | 3~10일 | 5~13일 |
조림류* | 7 | 3~14일 | 4~21일 |
조미김* | 1 | 183일 | 207일 |
즉석섭취식품(살균) | 10 | 10~30일 | 11~46일 |
즉석섭취식품(비살균) | 29 | 43시간~5일 | 44~123시간 |
즉석조리식품 | 22 | 24시간~50일 | 28시간~66일 |
천연향신료* | 2 | 31일 | 31~42일 |
초콜릿가공품 | 4 | 30~183일 | 51~296일 |
캔디류 | 1 | 15일 | 23일 |
크림발효유 | 2 | 16~30일 | 28~40일 |
프레스햄 | 9 | 16~50일 | 23~77일 |
햄 | 7 | 10~50일 | 11~61일 |
혼합소시지* | 1 | 183일 | 355일 |
'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 > 잡학다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년 제 6호 태풍 카눈 예상 경로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 (1) | 2023.08.07 |
---|---|
나혼자산다 506회 기안84 러닝화 신발 운동화 상의 정보. 기안84 마라톤 매장 정보 (0) | 2023.08.05 |
대도서관, 윰댕 이혼 발표. 재산 분배와 전 남편 아들 양육은 누가? 이혼사유는? (0) | 2023.07.31 |
23년 7월 기준 카톡 차단 확인 방법 *모바일, PC카톡 확인 방법과 단톡방 등 (1) | 2023.07.25 |
경구피임약 복용 후 관계는 괜찮을까? 경구피임약 원리와 부작용, 피임률과 올바른 복용법은? (0) | 2023.07.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