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자 점도'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고분자 점도2

뉴턴 유체와 비뉴턴 유체 정리, Newtonian fluid, Non-Newtonian fluid 이전에 말했듯, 고분자의 유체는 '뉴턴 영역'과 '비뉴턴 영역'으로 나뉜다. 그리고 뉴턴 영역은 1차, 2차 영역으로 나뉘는데, 전단율이 0에 가깝거나 무한대에 가까울 때 점도가 일정한 영역을 말한다. 즉, 전단율과 전단력이 비례하며, 반면, 비뉴턴 영역은 전단율과 전단력이 비례하지 않아 전단율에 따라 점도가 달라지는 영역을 말한다. 멱 법칙을 따르기 때문에 'power law region'이라고도 불린다. 뉴턴 유체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아래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Tau'는 '전단응력', 'du/dx(=γ ̇)'는 '전단율'을 의미한다. 그리고 'μ=η'는 같은 의미로서 '점도(viscosity)'를 뜻한다. 즉, 전단율과 전단력은 항상 같이 비례하기 때문에 점도는 항상 같은 값이 .. 2021. 7. 3.
고분자의 점도 특성, 점성과 뉴턴영역, 전단박화 고분자는 점성과 탄성을 모두 지니고 있는 특성을 가졌다. ✅점탄성을 가진 추잉 껌을 늘리면 탄성 때문에 원래대로 돌아가려고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탄성은 점성으로 변해 원래대로 돌아가려는 탄성이 감소하면서 모양이 변한다. 고분자는 이러한 특성을 지닌 것이다. ✅그래서 레오미터로 점탄성을 찍어보면 아래와 같은 [저장탄성률;G']과 [손실탄성률;G"], [각주파수;ω]에 관한 관계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저장탄성률과 손실탄성률을 합한 것을 'complex shear modulus'라고 부르며, 복합전단탄성계수와 각주파수의 관계를 통해 복소점도;η*(complex viscosity)에 관한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저장탄성률은 탄성, 손실탄성률은 점성으로 보면 된다. 2020/12/23 - [과학과 공.. 2021. 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