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46 아옳이(김민영)♥서주원 불화설?? ++ 이미 작년에 이혼을 했다?, 아옳이 상간녀 서주원은 카레이서로 하트시그널 시즌1에 출연했었고, 이후 신동과 김이나 작사가의 소개로 김민영(아옳이)을 만나 열애를 시작하게 됐다. 서주원은 고등학교 시절부터 김민영의 팬이었다고도 해서 성덕이 된 것 같다는 발언 등을 했는데, 이 둘은 연애를 시작한 지 4개월 만에 청혼을 하여 1년이 좀 안 됐을 때 결혼을 하게 됐다. 이 둘은 많은 이들의 축하를 받았는데, 현재는 아옳이(김민영)와 서주원은 이혼설에 휩싸였다. 지난 11일 서주원은 본인의 인스타그램에 “이젠 내가 널 상대로 싸워야 하네. 마지막까지 인정은 할 줄 알았는데”라며 “교묘하게 회피만 하고, 예전부터 내가 말했지. 법은 증거 싸움이라고. 흔적을 남기지 말라고. 이제라도 남기지 마. 이미 많으니까”라는 스토리를 올렸다. *현재 서주원의 인스타그.. 2022. 5. 12. 금리 상승과 긴축정책으로 인한 증시 하락과 이에 대비하는 법은? 현재 미국의 금리 상승과 양적긴축을 추진한다는 소식과 함께 소비와 투자가 소극적으로 변했다. 미국 증시가 하락함에 따라 국내 증시도 연달아 하락했는데, 이는 통화긴축 정책으로 통화를 회수하면서 달러의 가치가 강세 + 국내에 있는 돈이 빠져나가고 투자 심리도 감소하는 것이 이유 중에 하나이다. *이럴때 배당형 채권형 ETF에 눈을 돌리기도 하는데, 채권 금리가 상승하고, 가격이 하락하기에 장기 채권은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으나 단기 채권은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는다. 2022.05.06 - [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경제와 사회] - 미국 연준 기준금리 0.5%p(50bp) 인상 결정. 주가에 어떤 영향을 줄까? 현재 삼성, SK, 현대차, LG그룹의 전체 시가총액은 작년 말에 대비해 2.4% 줄었다... 2022. 5. 11. 윤석열 대통령의 전기 민영화는 진짜일까? 전력 민영화, 한전 민영화, 전력 시장 개방 오늘부터 윤석열 당선인이 정식으로 취임해 대통령으로서 첫날이 됐다. 내각이 절반만 완료된 상태에서 벌써부터 여러 논란들이 있는데, 그중 하나인 '전력시장 민영화'에 대한 걸 정리하고자 한다. 22년 4월 28일 대통령의 인수위원회는 에너지 정책으로 '전력시장 민간 참여 확대'를 얘기하였다. 전력 민영화 추진인 것이냐는 지적이 있자, 인수위는 한전이 독점적으로 가지고 있는 전력구매계약(PPA) 허용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지 민영화는 아니라고 주장했다. *전력구매계약(PPA)은 한전이 전력거래소를 통해 발전사로부터 전력을 구입하고 독점적으로 판매할 수 있는 권한을 말한다. 허용범위가 확대되면 다른 사업자가 직접 계약을 맺고 공급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인수위가 전력 판매 구조를 개방하는 것은 다양한 전력 서.. 2022. 5. 11. 티스토리 북클럽 스킨 수정 (2) - 전체 방문자수 가리기, 최근 댓글 가리기, 푸터 수정 티스토리 입문자들은 북클럽 스킨을 많이 추천한다. 스킨을 적용한 후에 몇 가지 수정을 해놓으면 더 좋은데, 그중 하나인 방문자수 가리기, 최근 댓글 가리기 및 푸터 수정을 얘기하고자 한다. 참고하면 좋은 게시물 2022.02.28 - [블로그 tip] - 티스토리 북클럽 스킨 수정 - 본문 제목 배경 어둡게 하기 1. 티스토리 블로그 방문자수 숨기기 - 방문자수를 숨기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개인의 취향이 있으나, 보편적으로 블로그를 더 깔끔하게 보이기 위해서다. 두 번째는 나 같은 조무랭이 블로거한테는 해당이 안되는 일인데, 정말 많은 방문자수와 광고 수익을 보장하는 블로그의 경우 방문자수를 보고 경쟁자가 악의적인 행위를 저지르는 경우가 있다고 주워들었다. *이게 사실이라면 많은 수익을.. 2022. 5. 10. 구글 서치콘솔 색인 생성 요청 방법. 색인 생성 요청을 해야만 하는 이유 구글 서치콘솔 색인 생성 요청은 왜 해야 할까? 티스토리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여러 설정을 해주는 것이 좋은데, 중요한 사항 중 하나인 구글 서치 콘솔에서 색인 생성 요청을 하는 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 구글 서치콘솔에서 내 블로그 도메인을 등록하면 내 블로그의 어떤 게시물 유형이 어떻게 어디서 유입됐는지를 모니터링 할 수가 있다. 그중 가장 중요한 사항은 서치콘솔 내 '색인 생성 요청'을 통해 구글 유입량을 늘릴 수 있다는 것이다. 간단히 말하면 내가 작성한 게시물에 색인이 생성돼있어야 구글에서 검색을 했을 때 노출이 잘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블로그 내에 있는 게시물들은 색인이 생성되지 않은 것들도 있기 때문에 서치콘솔에서 수동으로 '색인 생성 요청'을 해야 하는 것이다. 서치콘솔 '색인 생성 요청'.. 2022. 5. 9. 이전 1 ··· 165 166 167 168 169 170 171 ··· 2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