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03 Page)
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047

KDB산업은행 부산 이전 진행되나? *행정절차 일부 완료로 산업은행 노조 반발 산업은행 본사 부산 이전 준비 중? 산업은행(KDB)은 일반 은행과 다르게 한국산업은행법에 따라 기업금융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책은행이다. 즉, 공공기관으로 분류되면서도 제1금융권이기 때문에 은행법도 동시에 적용받는다. **참고로 산업은행은 이명박 정부 당시, 공기업 민영화 정책으로 산업은행이 리먼 브라더스 인수를 시도했었다가, 국회와 여론이 좋지 않아 철회했었다. 이때 얼마 안 지나 리먼 브라더스가 파산했기 때문에 인수가 됐었으면 이명박 정권은 물론이고 대한민국 자체에 엄청난 타격이 있었을 것이다. 경제몰락 : 리먼 브라더스 사태 요약 정리 신문을 종종 봤다면 들어봤을 리먼 브라더스 사태를 요약해보자. 사실 나는 최근에 이런 일이 있었다는 걸 알았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나는 경제 시사 정치에 전.. 2023. 4. 2.
국대 불화설. 김민재 손흥민 언팔 및 차단 후 다시 맞팔. 김민재 손흥민 불화설 타임라인 요약 김민재 손흥민 선수 불화설 타임라인 요약 SSC 나폴리 수비수이자 국가대표로 맹활약을 하고 있는 김민재 선수가 지난 28일 우루과이전에서 국가대표 은퇴를 시사하는 듯한 인터뷰를 했었다. 우루과이전 이후 인터뷰에서 김민재 선수는 "지금은 힘들고, 멘털 쪽으로도 많이 무너져 있는 상태다. 당분간 소속팀에서만 집중할 생각"이라면서 "그냥 축구적으로 힘들고, 몸도 힘들고 그렇기 때문에 대표팀보다는 이제 소속팀에서만 좀 신경을 쓰고 싶다"라고 털어놓았다. 계속해서 "(대한축구협회와) 조율이 됐다고는 말을 못 하겠다. 이야기는 조금 나누고 있었다. 이 정도만 하겠다"라고 정확한 답은 피했다. 언론이 의혹을 부풀었다고 비판하는 얘기들도 있지만, 인터뷰 내용을 보면 '국대 은퇴하려고 하나?'라는 말처럼 보인다. 이후 .. 2023. 3. 30.
KT는 공기업일까 민간기업일까? *여당과 국민연금의 반대로 아직도 KT 새 대표가 뽑히지 않았다. KT가 시끌시끌한 이유  KT는 옛날에 '한국전기통신공사'라는 공기업이었다.(1981년 설립) 국내 통신망을 맡았기 때문에 민간이 아닌 나라에서 관리하는 공기업이었던 것.  그러나 약 20년 뒤인 2002년 8월에 민영화가 되면서 민간기업이 됐다. 이때 특정 기업에 주식을 몰아줘 대주주가 되면 특혜 우려가 있으니(*게다가 국내 통신망을 관리하기 때문) 국민연금이 대주주가 되도록 결정됐다.  정부의 소속인 국민연금이 대주주라서 민간기업이라도 사실상 정부의 입김에 좌지우지된다는 평이다. 이번에도 마찬가지 사안으로 시끄럽다.    KT 대표 후보가 아직도 뽑히지 않았기 때문  KT는 3년마다 임기를 가진 대표가 있어서, 이때마다 새 대표를 뽑는다. 이때 이사회에서 주주들의 의견을 들어 후보를 선정하고 대표를 .. 2023. 3. 29.
서울의 한 사립대 강사가 여성 혐오 발언을 쏟아냈다. *해당 학교는 어디? 서울의 한 사립대 강사가 강의 중 막말을 한 사실이 드러났다. 지난 3월 22일 대학생들 익명 커뮤니티인 에타에 여성 혐오 발언을 쏟아냈다는 게시물이 올라왔다. 해당 게시글에 따르면, 강사 A 씨는 "요즘 여학생들 대가리가 텅텅 빈 것 같은데 에이쁠(A+) 받아서 뭐 할 거냐, 시집갈 때 남편한테 보여줄 거냐, 누구 인생 망치려고"와 같은 발언을 하며 학생들에게 막말을 쏟아냈다. 이뿐만 아니라 "여자는 눈도 멍청하게 뜨고 여학생들 때문에 학력이 떨어진다", "여자애들은 컴공와서 젊은 애들 자리 뺏지 말고 딸기 농사나 지어라"라며 여성과 농민들을 비하했다. 여기서 끝이 아니고 이 강사는 수업 중 자기소개를 하는 한 학생의 말을 끊고 "그렇게 흘러가는 대로 살면 그게 이태원 참사인 거야"라고 말하며 막말을 .. 2023. 3. 28.
CPU, GPU, NPU의 차이는? 이해하기 쉬운 개념 정리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 CPU는 기억과 해석, 연산, 제어를 담당하는 컴퓨터의 핵심적인 장치로 '대뇌'에 비유되며 컴퓨터의 성능을 좌우한다. CPU는 고속으로 순차적으로 처리를 하는 작업을 하며, 일반적으로 클럭, IPC, 코어 수 등에 의해 성능이 결정된다. 클럭은 CPU의 속도를 의미하고, IPC는 명령어 하나를 처리하는데 클럭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측정한다. 코어는 회로의 핵심 부분으로 코어 개수가 많을수록 여러 가지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코어가 1개인 싱글코어는 한 번에 하나의 작업 밖에 하지 못해 동시에 여러 창을 띄우고 작업을 하면 버벅거리지만, 2개인 듀얼코어, 4개인 쿼드코어, 6개(헥사코어), 8개(옥타코어) 등 코어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2023. 3.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