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퇴사자 연말정산 방법 : 5월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정리, 퇴사 후 종합소득세 신고, 퇴사 후 연말정산 방법
본문 바로가기
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잡학다식

중도퇴사자 연말정산 방법 : 5월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정리, 퇴사 후 종합소득세 신고, 퇴사 후 연말정산 방법

by 학식과 구내식당 사이 2022. 5. 15.
반응형

 

 

 5월은 종합소득세의 신고기간이다. 현재 직장을 다니는 사람들에게는 5월 종소세 신고가 크게 상관없을 테지만, 중도 퇴사자들은 얘기가 다르다.

 

 우선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은 22.05.01 ~ 22.05.31까지이고, 22.05.01 ~ 22.08.31까지는 납부기간이다.(*환급을 받지 않고 세금이 발생해 납부를 해야 할 때 발생하는 납부기간)

 

 

 중도 퇴사자는 연말정산을 못해서 종합소득세를 신고하는 경우가 많은데, 중도 퇴사자는 크게 세 가지 경우로 나뉜다.

 

 

1. 퇴사한 해의 재취업한 경우

 

2. 퇴사하고 다음 해의 취업한 경우

 

3. 퇴사하고 나서 미취업인 경우

 

 

 1. 퇴사한 해의 재취업한 경우

 

 이 경우엔 재취업한 회사에서 그 해에 연말정산 안내 및 처리를 해줄 것이다.

 

 

 2. 퇴사하고 다음 해의 취업한 경우, 3. 퇴사하고 나서 미취업인 경우

 

 이 두 가지 경우는 5월 종합소득세 기간 때 신고를 해야 한다. 만약 내가 2021년 연말정산 전 중도에 퇴사를 했고, 21년에는 재취업을 하지 않았으나, 1) 22년이 되어 재취업을 했거나, 2) 미취업 상태일 경우 해당한다.

 

 종합소득세 신고를 위해 우선 홈택스를 검색하여 들어간다. *모바일을 이용할 경우 홈택스의 모바일 버전인 손택스를 써도 된다. 들어간 후 '종합소득세 확정신고' 클릭

 

 


 

 

 그 후 근로소득 신고 -> 정기신고를 눌러준다

 

 


 

 그러면 공동인증서, 혹은 간편인증서를 통해 본인인증 로그인을 하고 나면 하단과 같은 이미지가 뜬다. 이때 주민등록번호 옆에 있는 조회 버튼을 눌러주면 내 등본상 주소가 뜨고, 휴대폰 번호는 수기로 입력해줘야 한다.

 

 


 

 

 그다음 귀속년도 하단에 '연말정산 불러오기'라고 쓰여있는 버튼을 눌러준다. 그러면 내가 근무했던 곳의 근로소득을 알 수 있고, 체크를 하여 위 내용대로 적용하기 누르면 된다.

 

 


 

 

 그러고 나면 근로소득에 따른 급여와 공제 기타 등등 자료들이 뜰 것이다. 


 

 

 상세 공제 명세에 보면 '계산기'라고 쓰여있는 항목들이 있는데 눌러주면, 내 세액공제 자료들이 나와서 자동으로 계산을 해준다. 적용하기를 눌러주면(금액이 있을 경우) 금액에 자동으로 적용된다. *자동으로 금액이 나와있는 경우들도 있지만, 계산기를 눌러서 확인해주자.

 

 부양가족이 있을 경우 인적공제 입력을 눌러서 추가로 입력을 해주면 된다. 그 외에도 직접 입력해줘야 하는 게 있다면 수기로 입력 후 계산하기를 눌러 적용해준다.

 

 


 

 

 의료비나 신용카드, 직불카드 사용액도 마찬가지로 금액이 나와있지만, 계산기를 누른 후 -> 간소화 서비스 불러오기 -> 적용하기를 누르면 된다.

 

 


 

 

 이렇게 많은 명목들을 확인하고 계산을 눌러주고 나면 맨 아래에 드디어 가장 중요한 세액공제 합계가 나온다. 환급을 받을 것인지, 세금을 토해낼 것인지..!!

 

 세액공제 계를 확인하고 나면 하단에 저장하고 제출하기를 눌러주며, 환급받을 은행과 계좌를 입력해주면 된다. 그럼 종합소득세 신고 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