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 안정성을 높인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소자
본문 바로가기
과학과 공학 이야기/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색 안정성을 높인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소자

by 학식과 구내식당 사이 2021. 5. 2.
반응형

 

 지난달 3월 4일 네이처에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소자에 대한 내용이 게재되었다. 연구진은 국내 부경대 물리학과 교수팀(이보람)이 참여한 국제 공동연구팀이다.

 

 페로브스카이트는 차세대 소자로서 유망한 소자임은 전 게시물들을 통해 얘기한 바가 있다. 이번 연구는 디스플레이 분야에 활용될 페로브스카이트 소자이다.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체는 높은 색순도, 발광 효율, 색 조절 용이, 저렴한 소재 비용에 장점이 있다. 대체 소재를 찾으려는 연구는 당연한 것인데, 페로브스카이트 중 '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체[천연광물인 칼슘티타늄옥사이드(CaTiO30)와 같은 결정 구조를 갖고 있음. 유기 무기 할로겐(AMX3)]'가 주목을 받고 있다.

 

 다만 페로브스카이트는 외부 환경에 쉽게 영향을 받아 안정성이 떨어진다. 특히 발광 소자로 사용될 때, 적색과 청색을 얻기 위해선 둘 이상의 할라이드를 혼합한다. 이때 외부 자극에 의해 쉽게 분리되고, 파장이 바뀌어 발광색이 변하게 된다. 즉, 색에 대한 안정성이 떨어진다.

 

 *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에는 '프렌켈 결함'이 존재하는데, 할라이드 이온들이 결정의 결함 자리를 통해 이동하고 이로 인해 둘 이상의 할라이드 이온은 분리가 되는 것으로 보인다.(Halide segregtaion)

 

 

 여기서 '프렌켈 결함'은 위 사진을 참고하면 된다. 음이온이 주황색이고, 양이온은 파란색 원형이다. 보통 양이온은 음이온보다 크기가 작아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위 사진처럼 양이온이 원래 자리에서 빠져나가 다른 양이온 자리에서 쌍을 이루고 있는 것을 '프렌켈 결함'이라고 한다.

 

 반면 양이온과 음이온이 빠져나간 것을 '쇼트키 결함'이라고 한다. 두 경우 모두 구조는 불안정하나 전기적 중성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 연구팀은 우선 브롬(Br)과 요오드(I) 두 가지 할라이드(할로젠)를 이용해 적색 발광을 하는 나노 결정을 합성하였다. 실험 방법은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메틸암모늄(MA)과 브롬(Br), 납(Pb)과 요오드(I)를 아세토나이트릴에 넣는다. (MABr+Pbl2) 

 

2. 메틸아민 가스를 첨가한다.

 

3. 아세토나이트릴과 메틸아민이 첨가된 MAPb2Br을 전구체 안에 넣는다. Oleic acid and oleylamine in toluene, 60 ºC

 

4.  테트라아세트산(EDTA), 글루타티온(Glutathione)을 넣고 12h 교반

 

source : Nature Vol 591 4 March 2021

 

 


 

 위 실험을 통해 보안할 수 있는 점은 테트라아세트산(EDTA), 글루타티온(Glutathione)이 리간드 처리가 되어, 페로브스카이트 내 프렌켈 결함과 강하게 결합하여 결함을 제거하거나, 표면에 결합하여 리간드로 작용하며 외부 자극에 대해 보호하게 된다.

source : Nature Vol 591 4 March 2021

 

source : Nature Vol 591 4 March 2021

 

 이렇게 만들어진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소자는 외부 양자효율이 20.3%를 보이며 매우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외부 양자효율이란 주입된 전하 입자 수에 대비해 사용할 수 있는 빛 입자수다. 수치가 높을수록 좋다.

 

source : Nature Vol 591 4 March 2021

 

 또한, 색 안정성도 높았는데, 위 그래프는 왼쪽은 일정한 전류를 시간에 따라 준 것이고, 오른쪽은 다른 전류를 가했을 때의 발광 파장 스펙트럼이다. 보이는 것처럼 리간드를 처리하지 않은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는 680nm 부근에서 새로운 파장이 생긴 반면, 리간드를 처리한 소자는 새로운 파장이 나타나질 않는다.

 

 이를 통해 색 안정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대단한 성과이나, 납이 독성을 가졌기 때문에 이를 대체할 물질을 찾는 것, 혹은 이 독성을 어떻게 보완할 것인지에 대한 것은 여전한 숙제로 보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