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 보증금'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월세 보증금2

아파트 임대차 신규 계약. 월세보다 전세 비중이 다시 늘어났다. *전셋값 하락 및 전세보증금 반환 지연에 대한 세입자들에 대처법은? 23년 1월 기준. 아파트 임대차 신규 계약에서 전세 비중이 늘어났다. 그동안은 높은 전세가와 전세 사기, 그리고 높은 대출 금리(전세 대출 이자보다 월세가 더 싸게 먹히는 경우)로 월세 비중이 늘어나는 추세였다. 그러나 전셋값이 크게 하락하자 월세 대신 전세를 선택하는 세입자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에서 제공 및 공개하는 아파트 임대차 실거래가 통계치를 보면 1월에 체결된 신규 계약에서 전세 비중은 58.4%였다. 22년 12월엔 52.6%까지 하락세였는데, 다시 반등한 것이다. 다만, 갱신계약 비중은 70.8%에서 60% 후반대로 큰 변화가 없는 상황이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전셋값이 하락하자 갱신이 아닌 신규 계약건수가 늘어난 것이다. *수도권은 61.3%, 비수도권은 54.2%로 수도권에.. 2023. 2. 26.
전월세 계약 만료 전에 이사를 하게 된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 전세 계약 만료 전에 이사를 하는 경우엔 어떻게 할까? 전세 혹은 월세 계약 만료 전에 부득이한 사정으로 이사를 가야 하는 경우들이 있다. 심지어 전세 계약 보증금은 대부분 대출 문제도 껴있어서 신경 쓸 문제가 많아진다. 그래서 만약 전월세 계약 만료 전에 이사를 가게 된다면 어떻게 하는 것이 합리적인지를 살펴보겠다. 전월세 계약 만료 전에는 집주인에게 이를 알려야 한다. 전월세 계약이 원래 계약 기간을 꽉 채워 만료가 되더라도 보통 2~6개월 전에 집주인에게 이를 알려야 하며, 집주인도 별 말이 없고 나도 이 기간을 넘어가면 묵시적 계약 갱신으로 자동으로 재계약이 체결된다. **첫 계약에서는 계약 기간 만료까지 있는 게 원칙이나, 묵시적 계약 연장 혹은 계약갱신권 등을 통한 재계약의 경우엔 언제 재계약.. 2023. 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