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자동이체 잔액부족으로 이체 안 됐을 때 처리 방법
본문 바로가기
경제·사회 & 생활 이야기/잡학다식

청년도약계좌 자동이체 잔액부족으로 이체 안 됐을 때 처리 방법

by 학식과 구내식당 사이 2025. 11. 6.
반응형

 

 

 

 

 

 청년도약계좌 자동이체 잔액부족 처리 방법

 

 청년희망적금을 비롯한 적금 및 공과금 등에 자동이체를 걸어놓은 사람들이 많다. 분산하여 금액이 나가다 보면 깜빡할 때가 있는데 자동이체날에 잔액이 부족하면 자동이체가 되질 않는다. 그래서 이후 수동이체를 해야 하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특히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불이익이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청년도약계좌 자동이체 실패하면 어떻게 되나요?

✅정부지원금, 이자 변경 및 미지급 가능성

 청년도약계좌는 월 납입 기준을 충족해야 만기에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그러다 보니 보통 자동이체를 매달 말일로 한 경우에 문제가 생긴다.

 

 예를 들어 매달 30일이 납입일인 경우, 실수로 잔액부족으로 자동이체가 안 됐고 이를 다음 달 1일에 인지하게 된 경우에 납입 횟수가 인정되지 않음에 따라 정부지원금 산정에 영향을 준다. 이에 따라 이자나 정부지원금이 변경되거나 미지급 가능성이 있고 지속적인 미납입의 경우 당연히 계좌 해지의 위험이 있다.

 

- 자동이체 실패 후 수동입금하면 인정되나요? > 인정이 되고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달이 넘어가지 않았다면 해당 회차 납입 인정이 된다.

- 자동이체일 변경 가능 여부 > 은행마다 상이하다.

 

 은행 별 자동이체 잔액부족일 경우

 

 청년도약계좌를 포함한 은행별 자동이체의 경우 일반적으로 당행이체의 경우는 자동이체를 재시도하고, 타행이체의 경우에는 재시도하지 않는다. 따라서 재시도 후라면 수동이체를 해야 하고, 타행이체도 수동이체를 해야 한다.

 

 단, 입금계좌가 입금계좌가 대출, 펀드, 퇴직연금인 경우엔 별도로 정한 바를 따르고 6개월 이상 이체되지 않은 경우엔 자동이체 등록을 해지로 간주하여 임의로 해지한다.

 

- KB국민은행 : 당일 1회 재시도

- 신한은행 : 익일 영업일 1회 재시도

- 하나은행 : 이후 3 영업일 재시도

- 우리은행 : 재시도 없음

- IBK기업은행 : 익일 영업일 1회 재시도

- NH 농협은행 : 당일 1회 재시도

 

 

 

 

 

 

반응형

댓글